정부, 먹는치료제 94만명분 추가 구매… 처방 의료기관 확충60세 이상 확진자 처방률 18% 수준… 가이드라인 제작 배포원스톱 진료기관 10%는 기능 상실… 수행업무에 따른 정보변경 조치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코로나19 6차 유행을 꺾기 위한 대책으로 먹는 치료제 처방률 제고와 원스톱 진료기관 활성화가 핵심과제로 꼽힌다. 하지만 각각 미흡한 부분이 존재해 방역당국 차원의 대책이 발동됐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치료제 처방률 제고 방안과 원스톱 진료기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코로나19 환자가 먹는 치료제를 보다 쉽게 처방받을 수 있도록 병원급 이상의 병원이라면 진료 과목에 상관없이 외래 환자에게 코로나19 먹는 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도록 했다.

    지금까지는 원스톱 진료기관이나 상급종합병원에서만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을 수 있었지만, 이를 종합병원 등으로 대폭 확대한다는 것이다. 

    또 병용금기 의약품이 20여종에 달하는 등 제한사항이 많고 임상정보가 부족한 먹는 치료제의 특성 때문에 의료진이 처방을 내리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교육자료와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작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같은 대책이 마련된 것은 고위험군에게 코로나19 확진 초기 먹는 치료제를 투약하는 것이 중증 진행을 막는 데 효과가 있는 데도 60세 이상 확진자의 평균 투여율이 18%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부는 유행파 지속을 우려해 이달 초 팍스로비드 80만명분, 라게브리오 14만2000명 분 등 총 94만2천명분의 먹는 치료제에 대한 추가 구매계약을 체결했다.

    팍스로비드 처방 불가 환자에게 처방되는 라게브리오를 8∼9월 중 우선 도입한 뒤 팍스로비드 도입이 이뤄질 예정이다.

    ▲원스톱 진료기관 10% 역할 ‘미비’… 지역별 의료협의체 운영 
     
    코로나19 검사·진단·진료·처방을 한 곳에서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는 필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대본은 먹는치료제 처방, 대면진료 등 일부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기관에는 실제 수행하는 기능에 맞게 공개 정보를 변경하라고 요청했다. 

    고위험군이 우선 검사·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사전 방문 예약을 하도록 하고, 이달 중 의료기관에 감염관리 매뉴얼을 제공할 계획이다.

    원스톱 진료기관은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고령층에는 유전자증폭(PCR) 검사 후 지역의 원스톱 진료기관 명단이 적힌 안내문을 제공하고 있다.

    지역별 의료협의체 운영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지난달 27일 지자체와 지역 의료계의 협의체를 운영하자고 제안한 것을 반영한 조치다. 

    협의체는 지역 여건에 맞게 구성하되, 지자체 보건 담당 실국장과 지역 의사회장 등이 참여하도록 한다. 협의체는 정기 또는 수시로 코로나19 대응 상황과 협조 요청 사항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그동안 협력은 중앙정부와 전국 단위의 민간단체 주도로 이뤄져왔는데 제도가 제대로 시행되려면 지역 단위 지자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스톱진료기관·병상 운영 현황과 독거노인 등 사각지대 고위험 계층 관리, 먹는치료제 원활한 공급 등은 지역의 소통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 위원장은 현재 광주 등 12개 시도에서 지역의료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지만, 서울·대전은 기초 수준에서도 운영되고 있지 않다면서 "협의체를 226개 시군구 단위까지 구성하는 방안도 고민해 달라"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