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점 이후 위중증 환자 지속 발생 가능성15일 저녁 기준 준중증 병상 70% 초과병목 현상 이미 발생 중… 응급의료 비상
  • ▲ ⓒ강민석 기자
    ▲ ⓒ강민석 기자
    6차 유행은 정점 이후 확산세가 곧바로 꺾이는 것이 아니라 ‘긴 꼬리’를 달고 오랜기간 유지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결국 얼마나 안정적으로 코로나19 중증환자를 관리할 수 있을지가 관건인데, 병상가동률에 ‘빨간불’이 켜져 위태로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16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집계자료에 따르면 이날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563명으로 전날보다 42명 증가했다. 지난 4월 26일 이후 112일 만의 최다치를 기록했다.

    위중증 환자 수는 1주 전인 지난 9일(364명)의 1.5배, 한 달 전인 지난달 16일(70명)의 8배로 급증했다. 위중증 환자 수는 신규 확진자 수 추이와 1∼2주 시차를 두고 나타나 앞으로 계속 증가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현상은 병상 부족과 연결된다. 제때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가 발생한다는 의미이며, 이는 코로나 외 타 질환자 대응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입원이 어려워 병상을 찾아 다니는  

    전날 5시 기준으로 전국 준중증 병상 가동률은 65%다. 수도권은 이미 71.7%로 한계점에 다다랐다. 중등증 병상 가동률은 46.6%로 절반이나 찼다. 

    정부는 병상 가동률 80% 이상일 경우 입원이 어려울 상황이 된다고 분석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70%만 넘겨도 ‘병목 현상’이 나타나 수월한 대응이 어렵다고 호소하고 있다. 

    실제 전국 곳곳에서는 응급환자들이 응급실을 찾지 못해 대기하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물리적으로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있어도 소통의 부재와 감염 위험의 공존이 도사린다. 지역별 격차도 심각한 수준이다. 

    응급실이 무너지면 병상 체계도 동시에 무너지는 구조가 된다. 특히 제도적 기반과 교통정리가 어려운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이와 관련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책상에서 방역망을 설계하는 것과 응급의료현장은 분명히 다르다”며 “전 국민의 절반이 감염된 지금의 상황에서 확진자들에 대한 적절한 치료와 중증환자들에 대한 빠른 치료 제공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즉, 현재의 상황에서 경증이나 단순발열 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하는 억제하고 코로나 중증 확진자를 포함해 중증 질환자의 응급의료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를 2급 법정감염병에 따르는 관리체계로 전환 ▲119 지역 상황실·전원조정센터의 중증환자 이송과 배치 업무 복귀 ▲코로나 진료·입원 수가 인상 및 코로나 원내감염에 대한 진료비 감면과 보상책 마련 ▲응급의료진에 대한 보상책 마련 ▲코로나 응급진료 기준과 제한 중단, 의료기관 자율적 코로나 환자 진료 환경 구축 등을 촉구했다.

    이날 서울 소재 응급의료센터 응급의학과 교수는 “응급실 교통정리가 선제적으로 진행되지 않으면 응급실부터 시작해 입원관리 체계가 연달아 무너지는 상황이 나타날 것”이라며 “수없이 강조한 부분이지만 전혀 개선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