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정기주총서 정관변경주가부양, 외인 큰손 유치 기대신한·KB, 작년부터 정례화'배당 자제' 당국 압박은 부담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하나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가 이달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분기배당'을 위한 정관변경에 나선다. 이로써 올해부터 신한‧KB금융지주를 포함한 4대 금융지주가 모두 분기배당을 실시하게 될 전망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우리금융은 같은 날인 오는 24일 정기 주총을 열어 올해부터 분기배당을 하기 위한 정관변경 안건을 부의한다고 공시했다.

    두 회사는 기존 정관상 매년 6월 30일을 기준일로 이사회 결의를 통해 중간배당만 할 수 있으나, 이번 주총에서 정관변경 안건이 통과되면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 6월 및 9월 말일을 기준일로 해 이사회 결의로 분기배당이 가능해진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신한‧KB금융은 이미 작년부터 분기배당을 정례화했다. 특히 신한의 경우 지난 2021년 금융권 최초로 분기배당을 실시한 바 있다.

    분기배당은 '자사주 소각'과 더불어 대표적인 주주환원책으로 손꼽힌다. 기존 주주에 대해 배당률을 높여 주주가치를 제고하고, 배당성향에 민감한 해외 '큰 손' 투자자 확보도 보다 용이해진다. 

    이를 통해 주가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올해 초 4대 금융지주의 주가는 지난해 역대급 실적 달성과 이에 따른 적극적 주주환원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돼 한 달 사이 작년 말 대비 20~30% 상승하기도 했다.

    하지만 1월 말 은행권 성과급‧배당금 확대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비판적 메시지를 던지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이후 지난달 13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선 "은행의 '돈잔치'로 국민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면서 4대 금융지주 주가가 급락하기 시작했다.

    특히 정부는 과도한 주주배당 억제를 위해 사내 충당금을 의무적으로 더 쌓도록 하는 내용의 규제도 검토 중이다. 이러한 정부의 방향성이 공개되자 투자자들이 떠나기 시작해, 4대 금융지주의 시가총액은 연초 고점 대비 13조원 가까이 증발했다.

    이와 관련, 금융권 관계자는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의 분기배당 실시는 투자자들 입장에선 상당한 호재이지만, 정부 차원의 금융권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선 당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