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MC, 22兆 투자 공언했지만...자금난에 건설 중단정부 보조금 노린 '사기극' 가능성"처음부터 실현 가능성 없는 목표" 지적도
  • ▲ 자료사진. ⓒ연합뉴스
    ▲ 자료사진. ⓒ연합뉴스
    중국 '반도체 굴기'가 흔들리고 있다. 삼성을 추격하기 위해 진행한 대규모 프로젝트가 자금난에 중단된 것. 일각에서는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정부의 보조금을 노리고 실현 가능성이 없는 목표를 세우고 투자를 강행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4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은 "중국 우한시 국가 산업 기지에 있는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 우한홍신반도체제조(HSMC) 공장 건설 현장에는 오가는 차량조차 없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축구장 59개 크기에 달하는 42만4000㎡ 부지에는 골격만 겨우 세워져 있는 정도다. 현장에 있는 건설업체의 인부들 월급은 8개월째 밀려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HSMC는 2017년 11월 설립 당시 1280억위안(약 22조2600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확보했고, 중국 최초로 7나노미터(nm) 공정 양산을 성공시키겠다고 공언했다. 이를 위해 대만 TSMC 임직원을 다수 영입했다. 지난해만 50명 이상을 빼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HSMC의 우한 반도체 공장 건설이 자금 부족으로 차질이 생기며 중단된 것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드(SCMP)는 "이 공장 건설이 우한을 방도체 제조의 허브로 만들려던 약 200억달러 규모 프로젝트의 핵심적인 부분이었지만, 착공된 지 2년이 지난 현 지점에서 공사가 중단됐다"고 전했다.

    자금 조달이 멈춘 이유는 HSMC가 환경 영향 보고서 등을 제공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으로 전해진다. 과거 엔지니어링 회사와의 분쟁으로 착공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중국에서 유일하게 극자외선(EUV) 장비를 보유하고 있지만, 자금난으로 현지 은행에 압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장비는 1500억원 이상이며, 네덜란드 ASML이 독점 공급한다.

    HSMC가 돌연 자금난에 처하자 현지에서는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을 노린 사기극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 신랑재경 등 현지 매체는 "HSMC는 처음부터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목표를 내세웠는데, 반도체 산업에 대한 맹목적인 투자 열기가 HSMC의 허점을 가렸다"고 분석했다.

    HSMC는 설립 초기부터 14나노급 양산 기술을 갖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파운드리 1위인 대만의 TSMC COO(최고 운영 책임자) 출신 장상이를 CEO(최고경영자)로 영입해 시장의 신뢰를 얻었다.

    또 최근 2년 연속 후난성의 중대 투자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려 지난해 말까지 중국 정부 등에서 투자금 153억위안(약 2조6600억원)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HSMC는 "우한 산업 단지에 14나노와 7나노 생산 라인을 구축하고, 웨이퍼 기준 연간 6만장을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 중 7나노 양산이 가능한 곳은 삼성전자와 TSMC 등 두 곳 뿐이다. 신생 기업이 이런 기술 격차를 뛰어넘겠다는 주장이었다.

    중국 신랑경제는 "HSMC 지분 90%를 가진 베이징광량란투 테크놀로지라는 업체의 설립 연도는 HSMC와 같은 2017년 11월인데, 사실상 두 회사 모두 페이퍼 컴퍼니일 가능성이 크다"며 "처음 주장했던 투자금 1280억위안은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HSMC 설립 3년 동안 기술 특허 하나 나온 게 없다"고 보도했다.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도 지난 1일 "HSMC가 중국 업체 중 유일하게 보유 중이라고 자랑했던 7나노 공정용 최첨단 장비가 은행에 압류됐는데, 알고 보니 이미 수년 전에 나온 철 지난 기기였다"고 전했다.

    HSMC 사태에 대해 중국에서는 맹목적인 반도체 굴기 투자 행태를 반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 왕이닷컴은 "올해 1~7월 중국의 반도체 업체 투자 금액은 600억위안으로, 작년 한 해 투자의 2배"라며 "자격이 안 되는 업체들이 투자금만 받고 폐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얻기 위한 자국 업체들의 '허언'은 비단 반도체 뿐만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최근 OLED 투자를 적극 펼치고 있는 패널업체들도 보조금을 받기 위해 일단 투자 결정을 하고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중국 업체들이 LCD를 장악하면서 LCD 투자에는 보조금이 나오지 않자 OLED 투자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중국 패널업체들이 중소형 OLED에 이어 TV용 대형 OLED까지 투자를 확대하고 있지만, 한국 기업과의 격차가 5년가량 벌어져 있어 당장의 효과를 거두진 못할 것"이라면서도 "중국 업체들은 정부 보조금을 받기 위해 무리한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