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3814가구 입주…3월 대비 48% 줄어수도권 4067가구…경기는 8년 만에 최저
  • ▲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4월 전국 아파트 신규 입주물량이 이달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과 경기 지역은 2000가구에도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다.

    26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 조사에 따르면 4월 입주물량은 1만3814가구로 전월(2만6337가구) 대비 48% 줄었다. 수도권, 지방 모두 입주 물량이 줄며 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수도권 입주 물량 감소폭이 크다.

    4월 수도권은 4067가구 입주해 전월(1만4590가구)과 비교해 72% 급감했다. 서울에서는 성내5구역을 재개발한 그란츠 리버파크(407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경기 입주물량은 1517가구로 2017년 3월(1346가구) 이후 약 8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지방의 4월 입주물량은 전월(1만1747가구)보다 17% 적은 9747가구다. 총 18개 단지로 각 단지별 총가구수 규모는 1000가구 미만으로 비교적 소규모 단지들로 구성돼 있다. 광주 2392가구, 대전 1740가구, 부산 1651가구, 경남 1570가구 등 광역시 위주로 입주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올해 1분기에는 7만9782가구의 새 아파트가 입주했으며 2~4분기에는 각 분기당 약 5만가구 규모의 입주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공급 감소는 주로 물량 부담이 컸던 수도권 외곽과 지방 광역 도시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만큼 단기적인 시장 충격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공급 축소에 대한 불안감이 집값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중장기적으로는 전체적인 공급 감소로 인해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이 부각되면서 주택 가격 상승과 임차 시장 불안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