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H지수 기초자산 ELS발행 제동, 증권가 대체지수 발굴업계 "H지수 규제는 자율 아닌 당국 주도" 반발
  • 증권사들의 HSCEI(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주가연계증권) 발행이 자율 또는 타율에 의해 막히자 다른 해외 기초지수를 이용한 ELS 발행이 늘어나고 있다. 다만 업계는 여전히 H지수를 활용한 ELS는 투자자와 증권사 모두에게 큰 기회가 되기 때문에 H지수를 방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증권사에서 발행된 ELS의 규모는 2조696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 8조3931억원을 기록한 이후 7~10월까지 계속해서 감소세를 보였던 발행 금액이 11월 들어 5개월만에 다시 전월대비 늘어난 것.


    하반기 들어 ELS 발행금액은 7월 7조4073억원을 시작으로 8월에는 6조463억원, 9월 3조6081억원, 10월 2조4555억원으로 감소세가 뚜렷했다. 7월 1855회를 기록한 이후 10월에는 189회로 3개월 만에 10분의 1로 급감했던 조기상환 건수도 11월에는 287회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는 증권사들이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 발행에 제동이 걸린 하반기 이후 지난달을 기점으로 대안을 모색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ELS시장은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높은 인기를 누렸지만 3분기 이후 홍콩증시 급락과 맞물려 금융당국이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 발행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를 나타내며 시장이 급격히 위축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증권업계는 최근 유로스톡스50, HSI(홍콩항셍지수), FTSE 차이나 A50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 ELS 상품출시를 시자하며 H지수의 대안을 찾고 있는 중이다.


    특히 최근 들어 홍콩항셍(HSI)지수를 활용한 ELS가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H지수는 중국본토의 우량기업 40개를 중심으로 구성돼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H주로 구성된 가중지수를, HSI지수는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 가운데 상위 우량종목을 대상으로 산출한 시가총액 가중지수를 말한다. H지수에 편입된 기업 뿐 아니라 홍콩 및 다국적 기업도 포함돼 있다.


    하나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주요 증권사들은 최근 HSI지수를 활용해 연 7% 내외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ELS 상품을 선보였다. 일부 증권사는 코스피200 또는 개별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를 발행하며 국내로 눈을 돌리고 있다.


    실제 예탁결제원 세이브로에 따르면 올해부터 9월까지는 HSI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가 단 한건도 없었지만 10월 들어 11건(57억원)을 시작으로 11월에는 38건(390억원)발행으로 증가했다. 이달 들어서도 총 6건, 19억원 상당이 발행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ELS는 거래량과 변동성이 충분하면서도 투자자들이 익숙하고, 선물 헤지가 가능한 지수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코스피200이나 유로스톡스50, HSI 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H지수를 기초로 한 ELS 발행 자제를 언제까지 지속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당국이 자율협약을 내세워 발행을 막고 있지만 H지수는 여전히 매력도가 가장 높은 투자처라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생각이다.


    현재 당국과 업계는 ELS 발행을 전월 상환액의 100%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다. 상환액이 없으면 신규발행이 불가능한 조치로 결국 지속적으로 발행 감소를 유도하겠다는 것이 당국의 생각이다.


    하지만 업계는 가장 큰 시장이자 기회인 H지수를 방치해둘 수는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 이미 증권업계 전체가 ELS로 인해 3분기 실망스런 수준의 실적발표가 확실시 되는 만큼 4분기에는 적극적인 전략으로 만회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특히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ELS는 변동성이 클수록 오히려 더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는 구조를 간과하고 투자자 보호 등 위험을 줄이는 측면만 강조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자에 대한 보호도 중요하지만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는 기회 자체를 잃어서는 안된다"며 "당국이 주도하는 자율협약이 아닌 업계 자체가 정한 자율을 바탕으로 안정성을 더욱 강화하는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