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장관은 취임사에서 해운 재건, 수산업 혁신, 해양신산업 생태계 조성, 항만 미세먼지, 해양쓰레기 등 관련 현안을 빼먹지 않고 열거했다. 그러면서 해운·항만 분야 등에서 쌓은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해양수산 발전을 위해 일할 기회를 얻게 돼 영광이라고 했다.
우려의 목소리는 문 장관이 반쪽짜리 전문가라는 데서 나온다. 문 장관은 취임사에서 스스로 밝혔듯 해운·항만 분야에선 실전경험을 겸비한 전문가로 꼽히지만, 수산 분야에 있어선 그렇지 못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 장관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도 해운·항만 분야 질의엔 자신 있게 답했으나 수산 분야에 대해선 미흡한 모습을 보였다.
이런 모습은 이날 문 장관이 취임식 후 기자실을 찾아 소감을 밝히고 짧게 질의응답 하는 과정에서도 드러났다. 문 장관은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해운 재건을 꼽고, 구체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자신의 경험과 전문성, 국내외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반면 수산 분야와 관련해선 소신 있는 답변이 나오지 않았다. 수산자원 회복이나 양식, 유통 등의 문제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준비하다 보니 알게 됐다" "(인사청문회) 준비 과정에서 공부하다 느꼈다" "준비하며 들어 알게 됐다" 등의 말로 맞장구치는 수준에 그쳤다. 인사청문회를 준비하며 벼락치기로 비전문분야에 대한 현황 설명 정도만 들은 거로 보인다.
일례로 문 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수년째 제자리걸음 중인 한·일 어업협상과 관련해 "취임한다면 적극적으로 해결하겠다. 우리 원칙은 확실히 지키면서 협상은 계속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교과서적인 답변이다.
하지만 일본 측이 우리 어선의 조업 위반 등을 빌미로 입어 척수를 35% 수준까지 줄이겠다는 고집을 꺾지 않고 양국 간 여러 외교적 마찰까지 겹친 데다 믿었던 '대만 갈치 대체어장' 카드마저 쓸 수 없는 처지에서 어떻게 문제를 풀겠다는 건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현실 파악이 덜 된 정치적 레토릭(수사)에 불과한 셈이다.
문 장관은 이날 이런 우려 섞인 견해에 "지켜봐 달라"고 수차례 반복했다. 어디선가 자주 들어본 말이 아닌가. 문재인 정부는 소득주도성장을 실험하며 국민에게 "기다려달라"고 했다. 그사이 수많은 영세 소상공인은 가게 문을 닫았고, 소득 양극화는 심화했다.
한 나라의 해양수산 분야를 책임지고 이끌 해수부 장관 자리는 임명장을 받은 이후에 부족한 부분을 나머지 공부하는 자리가 아니다. 위기의 해양수산 산업을 심폐 소생하려면 반은 학생인 반쪽짜리가 아니라 온전한 전문가가 투입됐어야 한다. 하지만 주사위는 이미 던져졌다. 문 장관은 이날 답변 과정에서 "지금까지 선생만 했다"고 언급했다. 남을 가르쳐왔던 문 장관이 빠른 학업 성취도를 보여주길 바랄 수밖에 없는 게 작금의 어업인들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