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정부 "소득 없이 소비 없다" 내수소비 활성화 단체관광 규제 완화‧소비쿠폰 발행‧파트타이머 확산
  • ▲ ⓒ김광수경제연구소
    ▲ ⓒ김광수경제연구소

    코로나19 확산과 실업률 급증을 비롯해 미국과 세계 각국으로부터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중국이 경제성장 패러다임에 근본적 변화를 꾀하고 있다. 외교마찰을 줄이기 위해 내수소비 활성화로 ‘중장기적인 지구전(持久戰)’을 펼친다는 방침이다.

    21일 중국 현지 언론과 경제전문가들에 따르면 중국은 대내외여건이 급격히 악화되자 ‘내부 대순환’ 이라는 이름아래 내수경제로의 전환을 모색 중이다. 내부 대순환은 중국 기업들과 중국인들이 생산과 소비하기 좋은 자립형의 내수경제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트럼프 정부의 ‘중국때리기’가 거세지자 중국이 내놓은 묘수다.

    중국은 코로나19가 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지면서 정보공개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국제적으로 큰 비난을 받고 있다.

    미국은 ‘중국 책임론’까지 거론하면서 중국에 대한 비난과 압박의 수위를 높이는 중이다. 노골적으로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에 대한 제재조치를 발표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 6월에는 홍콩보안법 사태가 터지면서 유럽국가들이 중국에 대한 제재조치에 동참하고 있고, 중국의 두 번째 수출시장인 인도도 중국과 거래를 차단했다.

    중국 내부적으로는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와 실업률 급증, 남부지방 대홍수 등으로 경제적 타격이 확대된 상황이다. 경제전문가들은 시진핑정부가 최대한 외부마찰을 피하고 내수경제를 활성화 시켜 버티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김광수경제연구소의 김광수 소장은 “트럼프정부의 잇따른 제재에 시진핑 정부도 맞대응을 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떨어져 가능한 한 미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중국 공산당은 내부 대순환을 통해 힘을 키우는 동안 최대한 외부마찰을 줄이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국은 내수소비 활성화를 위해 코로나19사태 진정 이후 단체관광 규제를 풀었다. 여행사들이 다른 성을 오가는 단체관광과 ‘항공권+호텔’ 예약업무를 재개할 수 있도록 했다. 온라인 여행사이트도 예약업무가 가능해졌고, 관광지의 입장객 수용량도 최대 30%에서 50%로 확대했다.

    중국 지방정부도 코로나19 사태 이후 침체된 내수경기를 살리기 위해 소비쿠폰을 발행하고, 관광객 유치를 위한 유인책을 쏟아내고 있다. 실제로 중국 후베이성은 성내 400개 A급 관광지를 대상으로 주중 입장표 가격을 할인해주고 있으며, 산둥성 역시 8월부터 연말까지 성내 81개 국유관광지에 대해 50~80%의 가격할인 행사를 진행중이다.

    일부 지방정부들은 소비진작 효과를 위해 주 2.5휴일제도를 시행 중이다. 이에 따라 주요 관광지 입장료도 금요일 오후부터 반값에 제공하고 있다.

    중국은 또 취업안정과 보장을 위한 조치들도 속속 내놓고 있다. 취업과 소득이 없으면 소비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올해 6월 중국의 전국도시조사 실업률은 5.7%로 코로나19로 인해 공장들과 사업장들의 조업이 중단됐던 시기보다 다소 나아졌지만 지난해 실업률 평균인 5.2%보다는 높다.

    이에 중국 국무원 판공청은 다양한 채널의 유연한 취업지원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고, 파트타임 등 새로운 취업형태를 제시했다. 파트타임 취업기회를 늘리기 위해 건축인테리어와 도소매, 양로원, 탁아소, 유치원 등 지역사회 서비스업 일자리를 늘릴 계획이다. 또 취업이 어려운 계층과 학교를 졸업하고 2년 안에 취업을 하지 못하고 파트타임 등에 종사하면, 사회보험 보조금을 지급한다.

    특히 웨이상(중국의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상품을 홍보하고 파는 방식의 사업)과 온라인마케팅 종사자, e스포츠 종사자 등 온라인 관련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면서 파트타임 일자리가 확산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김 소장은 “중국은 코로나19로 정규직과 전일제 취업이 큰 타격을 입었으나 온라인 플랫폼이 다양한 취업형태를 만들어 내면서 파트타임 취업기회가 늘고 있다”며 “겸직 배송, 임시고객서비스 등 새로운 취업 모델과 웨이상, 온라인상점 사장, 개인 헬스트레이너, 파워블로거, 1인 미디어 온라인방송 진행자 등 유연한 고용형태가 점차 늘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