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설익은 개교…2025년까지 3단계 조성, 8289억 투입한전 적자 1분기에만 7.8兆… 적자 눈덩이 대학지원 부담전문가들 "광주과학기술원과 중복…공적지원 못끊으면 통합 불가피"
-
올해 3분기 전기요금을 인상한 한국전력공사의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문재인 전 대통령의 대선공약으로 추진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이하 한전공대)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독자적인 생존전략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한전공대가 존폐의 갈림길에 내몰릴 공산이 크다고 우려한다.28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세계 유일 에너지 대학인 한전공대는 지난해 6월1일 한전 본사가 있는 광주·전남혁신도시(나주) 내 대학 설립부지에서 착공식을 했다. 캠퍼스는 38만4083㎡ 대지에 건물 15만5000㎡가 오는 2025년까지 3단계로 나눠 조성된다. 학생수 1000명(대학원 600·학부 400), 교원 100명 규모로 2050년까지 에너지 분야 세계 10위권 공대 도약을 목표로 한다.한전공대는 2017년 문 전 대통령의 광주·전남 공동 공약으로 출발했다. 본관동(3만㎡)이 오는 2024년 초 준공하는 가운데 대학본부 일부와 강의동 일부에 대한 임시 사용승인을 받아 올 3월 문 전 대통령 임기 내 서둘러 개교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학교 건립에는 2025년까지 총 8289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한전은 물론 전남도와 나주시가 일부를 지원하고 전력산업기반기금 일부를 활용할 계획이다.
-
그러나 직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여파로 한전의 적자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전기료 인상 과정에서 정부가 한전의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주문하면서 한전공대 논란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이번 전기료 인상과 관련해 "(한전은 적자로 말미암아) 채권을 찍어야 한다고 난리다. (요금 인상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면서 "다만 자구노력이 먼저다. 발전설비 외 자산은 다 파는 등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한전공대를 포함해 비전기 관련 사업부문은 싹 정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에너지전문가들도 마찬가지다. 한 에너지전문가는 한전공대와 관련해 "특화한 대학들이 지금 없어지는 추세"라며 "지방대학교를 육성하는 게 낫다. (한전공대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한전이 여러 가지로 어려운 상황에서 (대학 설립의) 효과는 나지 않고 돈만 많이 쓰는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다른 에너지전문가도 "(한전공대는) 대통령 공약으로 설립됐다. 과연 해당 지역에 필요했는가를 따져봐야 한다"면서 "전남·북, 광주지역 고교 졸업생이 대학 정원보다 적은 것은 차치하고 에너지쪽으로 특화된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여러모로 중복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에 정보통신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T 등이 공동으로 정보기술에 특화한 한국정보통신대학교를 대전에 설립했다가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결국 카이스트(KAIST)와 통합된 사례가 있다"고 부연했다.에너지전문가들은 한전공대에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지원하는 것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했다. 특히 한전공대가 공적 지원 없이도 자립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적 지원을 스스로 끊어내지 못하면 실패작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 에너지전문가는 "파격적인 지원에 이미 학생을 뽑은 상태고, 지역의 반발이 엄청날 것으로 예상돼 (한전공대 설립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뿐 (한전공대를 보는) 에너지 관련 전문가들의 우려와 비판이 많다"면서 "자립할 수 있도록 몇 년간 도와줘야 하겠으나 자립하지 못한 채 공적 지원으로 연명하는 수준이 되면 결국 (GIST와) 합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재원 마련과 관련해 "한전이 영업이익을 낼 때야 문제 될 게 없겠으나, 지금처럼 적자 규모가 클 때는 상당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올 1분기 한전의 적자 규모는 7조7869억원쯤으로 이미 사상 최대 수준이다. 증권가에선 연간 적자 규모가 30조원을 웃돌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