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증권, 미래·신한證 최신 WTS 연동 추진투자자는 사용 편의성 한층 높여…증권업계 디지털 신규 고객 창출 가능금감원, 불공정거래 발생 가능성 우려 검토에 지연…각사 적극 협의 중
  • "네이버증권 종목토론방, 시세정보 보다가 주식 매매하고 싶을 땐 버튼 하나로 증권사 매매창에 연결되면 얼마나 편할까요?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다시 열어서 인증하고 로그인하고, 매매 화면 찾아 들어가기 번번히 번거로워요."

    네이버파이낸셜이 개인 투자자의 투자 편의성을 위해 미래에셋증권, 신한투자증권과 손잡고 추진 중인 웹트레이딩서비스(WTS) 간편연결 서비스 출시가 예정보다 늦어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불공정거래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우려해 검토가 지연되고 있는 탓이다. 업계에선 개미 투자자들의 접근성 높은 네이버페이증권과 보안이 철저한 증권사 WTS가 연동된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인 만큼 조속한 도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증권 페이지에서 개인 투자자가 주식 매매를 할 수 있도록 증권사 WTS를 연동하는 '간편연결' 서비스를 올해 초 출시할 예정이었지만 금융감독원의 우려로 검토가 지연되고 있다. 

    해당 서비스는 네이버증권을 이용하는 투자자가 주식 페이지에서 바로 주식 매매를 할 수 있도록 WTS를 연동시키는 구조다.

    네이버증권은 대형 플랫폼인만큼 많은 투자자들이 종목토론실에서 의견을 나누는 등 인기 있는 웹 페이지다. 

    네이버증권 페이지를 이용하는 다수의 투자자가 주식 매매 시 별도의 증권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증권사 매매창으로 간편히 연결된다. 인터넷 웹 브라우저 접속이 가능한 모든 기기에서 물리적인 제약 없이 주식 거래할 수 있도록 하고, 끊김 없는 사용성을 제공하는 취지다.

    미래에셋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은 네이버파이낸셜과 손잡고 이미 네이버증권 페이지와 연동하는 WTS 개발을 완료한 상태다.

    증권업에선 다소 생소하지만 이미 타업권에선 적극적으로 적용되는 서비스다. 예컨대 중소 쇼핑몰 접근 시 소비자가 별도로 해당 사이트에 가입할 필요 없이 네이버나, 카카오, 구글 등 계정 인증만으로 간편히 연결된다.

    연결된 WTS 역시 미래에셋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 수십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편의성과 보안성을 높인 최신 시스템으로, 만에 하나 발생할 전산 오류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도 낮췄다.

    과거 증권업계에선 스마트폰 이용량 증가로 PC 사용량이 급감하면서 WTS를 축소했지만 최근 들어선 달라지는 분위기다. KB증권은 지난 연말 WTS 전용 마블(M-able) 와이드'를 출시했고, 토스증권도 조만간 WTS의 정식 출시를 앞뒀다. 이는 맥OS와 태블릿 PC 이용자를 타깃으로 한 틈새전략으로 읽힌다.

    네이버증권페이지와 WTS를 연동하는 증권사들 입장에선 대형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신규 고객을 창출할 수 있고, 투자자 입장에선 사용 편의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반길 만한 서비스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증권사 입장에선 네이버페이증권 페이지를 통해 유입되는 투자자를 신규 고객으로 끌어올 수 있는 매력적인 창구"라면서 "투자자 입장에서도 복잡하고 불필요한 절차로 불편함을 덜어낼 수 있다. 훨씬 편하고 간편하게 매매로 즉시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당초 예정됐던 연초보다 서비스 개시가 늦어지고 있는 건 금감원이 불공정 거래 발생 가능성 등을 우려한 탓이다. 금감원은 우려되는 부분을 재차 점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각사와의 협의 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네이버밴드, 종목토론방에서 리딩방으로 넘아가는 불공정거래 관련 사례가 잦았다"면서 "WTS 업무 과정에서도 그걸 악용하는 세력들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해 이를 예방할 만한 방안을 찾자고 하는 것이지, 절대 이걸 하지 말자는 취지가 아니다. 투자자 보호를 목적으로 서로 풀어갈 수 있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각사들도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소명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네이버는 문을 터주는 것이고 증권사들의 안전한 시스템 안에서 매매가 이뤄진다. 불공정한 매매를 부추기거나 하는 서비스가 결코 아니라는 점을 당국에 충분히 소명하고 있다"며 "다만 협의에 시간이 걸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