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대상 기업 기후변화 대응 개선 촉진 활동
  • NH아문디자산운용은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에 따른 수탁자 책임 활동의 일환으로 'Say on Climate' 주주활동을 국내 최초로 수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투자 대상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수준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개선을 촉진하기 위한 활동이다.

    먼저 기후변화 관련 개선이 필요한 기업을 선정하여 주주서한 발송 및 면담을 통해 적극적으로 소통한다. 이후 활동 결과를 NH아문디자산운용이 자체 개발한 ‘Climate Risk Flag 방법론’을 적용해 5단계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리스크 상위종목들은 고유의 ESG 평가모형인 ‘NH-Amundi ESG Framework 3.0’에 체계적으로 반영해 ESG 등급 산정, 의결권 행사 및 펀드 운용에 활용하고 있다.

    회사는 이번 주주활동 대상으로 총 35개 상장기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온실가스 절대 배출량 연간 1000만tCO2eq(이산화탄소환산톤) 이상 ▲온실가스 절대 배출량 3년 연속 증가 ▲온실가스 집약도 온실가스 집약도란, 온실가스배출량을 매출액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산정해 기업의 규모를 반영한 배출량 관리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다. 

    동사는 주주활동의 첫 단계인 대상기업과의 소통을 위해 대상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목표, 성과, 모니터링 시스템, 활동별 감축 계획, 리스크 및 전환비용 측정 등 단계별로 체계적인 질의사항을 송부했으며, 가급적 내부 ESG 위원회 보고를 거친 공문형식의 답변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NH아문디자산운용에 따르면 대상기업 대부분은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탄소중립 활동을 우수하게 수행 중인 기업들은 주로 ‘국내외 고객사 요청’에 따라 관련 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급망 사슬에서 글로벌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회사의 1차 협력사까지는 대응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글로벌 주요국에서 지속가능 공시기준 법제화 및 의무화가 진행되면서 투자대상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인벤토리 구축, 기후변화 로드맵 설정 등을 연내 완료하는 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NH아문디자산운용의 수탁자책임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진호 주식운용부문장은 “지속가능경영 공시는 연간 1회 자발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분기별로 제공되는 재무공시에 비해 빈도가 낮다”며 “급변하는 제도적 산업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는 'Say on Climate' 주주활동을 최소 반기별로 진행해 투자대상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수준을 파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