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석유공급은 국가경쟁력 핵심 요소SK·GS 해외자원개발 적극, 에쓰-오일·현대오일뱅크 기존 사업 집중
  •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던 대한민국이
    [원유]를 들여와 휘발유 등 [석유제품]을 생산한다는 것은 당시에는 [꿈]이었다.

    1950~1960년대 당시 우리나라 에너지공급구조는
    대기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석탄을 중심으로 한 고체연료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미국의 원조를 벗어나기 위한 산업화 추진을 위해서는 석유산업의 육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다.

    우리도 한번 잘 살아보기 위해 추진된 정유산업은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4사로 거듭났으며
    명실상부 세계 최대 규모 및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구축한 상태다.

    특히 우리나라는 IMF, 금융위기 등을 거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하지만 단 한번도 국민 혈세인 공적자금 지원 없이
    그동안 국내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넘어 전세계 수출 시장을 누비고 있다.

    50여년이 흐른 지금 국내 석유산업의 위상은 크게 흔들리고 있다.

    안으로는 정부와 국민들의 산업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오해를 받고 있으며,
    밖으로는 LNG, 셰일가스 등 새로운 에너지원의 출현과 경쟁국들의 신증설 영향으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출 수 없다.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PX 등 석유화학분야로 몸집을 불리고,
    특수플라스틱,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에너지로 그 영역을 넓히며
    [제2의 창조경제]에 나선 정유산업을 조망해 본다.


    ①50년 전부터 [창조]에 나선 정유산업
    ②3만5천배럴에서 300만배럴까지 [규모]의 경제 실현
    ③깨도 또 깨고...[지상유전]을 건설하라!
    ④에너지영토 확장..."우리땅 우리 바다는 아니지만..."
    ⑤세계 최고 품질로 세계 시장 누빈다
    ⑥정유 넘어 PX 등 석유화학, 윤환유까지 경계 허물다
    ⑦미래에너지로...[제2의 창조경제] 나섰다


  •  

    우리나라는 한 해 소비하는 에너지의 약 96%를
    해외로부터 수입해 오고 있다.

    전형적인 에너지 대외 의존형 경제일뿐만 아니라,
    산업 구조가 에너지 소비형 중심으로 이뤄져 있어
    석유의 안정적인 공급은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다.

    이를 위해 SK이노베이션과 GS에너지의 경우
    [해외자원개발]에도 직접 참여하는 방식을,
    에쓰-오일과 현대오일뱅크의 경우 장기공급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원유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자원개발에 직접 뛰어들지 안해 산유국과의 협력 강화로
    석유의 안정적인 확보를 꾀하고 있다.

    국내 정유회사의 해외자원 개발 움직임은
    각 사별로 뚜려한 차이를 보인다.

    SK와 GS는 해외자원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반면,
    3, 4위인 에쓰-오일과 현대오일뱅크는 장기공급 체결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원유 도입선을 확보한 만큼 기존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이다.


    SK이노베이션


    현재 가장 역사가 깊고
    활발하게 자원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국내 정유사는 [SK이노베이션]이다.

    SK는 지난 2011년 SK이노베이션으로의 사명 변경과 함께
    2009년 분사한 [SK루브리컨츠]에 이어
    석유·화학사업을 각각 [SK이노베이션]과 [SK종합화학]으로 분사했다.

    또 지난 7월1일부로 [SK인천석유화학]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을 출범,
    6사 독자경영체제를 구축해
    자원개발 등 신사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원유 정제를 통해 석유제품을 공급하는 리파이너리(Refinery) 업체에서
    자원개발을 통한 원유 수출을 하는 E&P(Exploration& Production) 컴퍼니로의 도약을 위해
    지구 반대편까지 진출해 있다.

    석유개발사업은 수익성이 높은 반면,
    대규모의 자본투자가 요구되고 위험도도 그만큼 높다.

    이에 따라 최첨단의 기술과 고도의 전문지식은 물론
    사업에 수반되는 위험을 감수하는 경영층의 의지 및 결단이 요구된다.

    SK이노베이션은 높은 위험과 수익이 따르는 자원개발 사업에
    지난 1983년 국내 정유사 최초로 뛰어들었다.

    SK이노베이션 자원개발 사업부문이
    올해(누적) 벌어들인 영업이익은 7,420억원.

    1인당 영업이익이 가장 높은 사업부로 자부심 또한 매우 높다.

    원유생산량 전체를
    해외로 수출하는 석유개발사업의 경우
    지분원유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지난 2011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매출 1조원] 시대를 열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 전체매출 및 영업이익에서
    자원개발사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1999년에 각각 0.6%, 4.7%에서,
    2008년에는 매출 1.1%, 영업이익 15.6%,
    2012년에는 매출 1.3%, 영업이익 31.1%을 차지하는 등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주력사업인 [정유사업]이 부진에 빠진 올해 3분기에
    석유개발사업은 전체 매출의 1.5%에 불과했으나,
    영업이익은 40.2%에 해당하는 1,271억원을 기록하며
    알짜사업의 면모를 톡톡히 했다.

    특히 적극적인 투자와 성공 노하우 습득의 과정을 거쳐
    영업이익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매출 7,420억원,
    영업이익 4,102억원을 기록하면서
    3년 연속 영업이익 5,000억 돌파와 함께
    2011에 이은 매출 1조 달성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석유개발사업에 대한 성과는
    <최태원> 회장의 발로 뛴 투자와 지원에 기인한다.

    최태원 회장은
    선친인 故최종현 회장의 [무자원 산유국 프로젝트]를 이어받아
    지난 2004년 초 석유개발 사업을 석유개발사업부로 승격하고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했다.

    당시 최태원 회장은
    수십 차례 비행기에 몸을 실어가며
    직접 사업을 챙기고 진두지휘했다.
    이를 통해 2007년 베트남 광구 등 3개 광구,
    2008년 콜롬비아 등 3개 광구,
    2009년 5개 광구를 포함해
    11개 광구에 새로 참여했다.

    특히 2007년에 기상상황이 열악한
    밀림지대에 위치한 페루 88광구를 찾아
    시추현장을 둘러보고 현장 관계자들을 격려한 일화는
    최태원 회장의 석유개발사업에 대한 열의를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선친에 이은 최태원 회장의 석유개발사업은
    2010년 페루 LNG프로젝트에서 꽃을 피웠다.

    페루 LNG 프로젝트는
    현지 유전개발에서 가스생산, 수송, 수출을 망하라는
    [수직계열화]를 완성했다는 데에서 매우 뜻 깊은 프로젝트로 평가 받는다.

    특히 2010년에는 석유개발 브라질 법인(SK do Brasil Ltda.)의
    지분 매각을 성공함에 따라 다양한 사업성장의 옵션을 가질 수 있게 되면서
    대한민국 석유개발 수준을 한 단계 더 올려놓기도 했다. 

    아울러 2011년 7월 덴마크 머스크오일사와 체결한
    브라질 광구 매각은
    국내 자원개발 역사상 가장 큰 성과 창출로 평가받고 있다.
     
    SK는 2013년 현재
    16개국 24개 광구 및 4개의 LNG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이곳은 우리땅 우리바다는 분명 아니다.
    하지만 여기서 나오는 원유와 가스는 우리 것이다.

    이를 통해 확보한 원유만
    우리나라의 8개월 치 소비량인 5억600만배럴에 달하며,
    3분기 기준 일일 원유생산량은 7만1,000배럴이다.

    특히 올해는 석유개발사업을
    [개발],
    [생산],
    [M&A] 등 완성된 자원개발 사업 모델과,
    기술기반 역량을 바탕으로 틈새시장에 대해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키 위해 CIC(Company in Company) 수준으로 격상시켰다.

    "석유개발사업은
    최태원 회장의 뚝심을 바탕으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지금의 성장세를 유지해
    우리나라 전체가 1년 4개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일일 10만배럴 돌파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 SK이노베이션 관계자

     


  • GS칼텍스(GS에너지)

    GS칼텍스도 국가 에너지 자립에 기여하기 위해
    [해외유전개발]에 진출한 상태다.

    지난 2003년 쉐브론(Chevron)으로부터
    [캄보디아 블록 A 해상광구]에 대한 탐사권 중
    15%의 지분을 인수하며 첫 발을 내 디딘 것이다.

    GS칼텍스의 첫 유전개발 사업인
    캄보디아 블록 A 해상광구는 
    탐사작업을 통해 양질의 원유 및 가스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2006년 2월에는
    러시아 국영석유사인 로즈네프(Rosneft) 및 한국컨소시엄과 함께
    [러시아 서캄차카해상 탐사 광구]에 참여했다.

    같은 해 7월에는 [태국 육상 L10/43·L11/43 탐사광구] 지분의 30%를
    일본 미쯔이그룹의 탐사회사인 MOECO사로부터 인수하기도 했다.

    2011년에는 한국석유공사 등 한국 컨소시엄으로
    우리나라 최초로 [아제르바이잔] 자원개발에 진출했다.

    이와 별도로 지주회사인 GS홀딩스도
    2005년 1월 인도네시아 [NEM1], [NEM2], [워캄] 등
    3개 탐사광구]에 대한 탐사권을
    각각 5%, 30%, 20% 인수하면서 유전개발사업에 참여했다.

    아울러 [예맨 16], [39광구],
    카자흐스탄 사우스 카르포브스키(South Karpov sky) 광구 등
    탐사 지분을 매입하는 등 석유탐사사업을 확대했다.

  • ▲ ▲ GS E&P 보유 광구 현황.
    ▲ ▲ GS E&P 보유 광구 현황.



    2012년에는 GS가 GS칼텍스 주식 전부를 물적 분할해
    에너지전문 사업회사 [GS에너지]를 신규 설립했다.

    이에 따라 GS칼텍스가 주도해 온
    해외자원개발과 에너지 사업을 GS에너지가 전면에 나서 추진하게 됐다.

    GS에너지는
    현재 [동남아시아] 4개 광구를 비롯해
    [UAE], [북미지역 광구] 등  총 6개 광구에 참여하고 있다.

    2012년 3월,
    한국석유공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아부다비국영석유회사(ADNOC)와  공동으로
    3개 미개발광구의 조광권에 대한
    공동운영 및 투자를 위한 본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컨소시엄은
    전체지분의 40%를 인수,
    향후 상업생산 시 보유지분만큼의 원유확보가 가능하다.

    특히 UAE는
    석유개발의 프리미어리그로 불리워지는 곳으로
    국내 기업 최초로 중동 지역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2012년 5월에는 GS글로벌, 화인파트너스와 함께
    유전개발 전문업체인 미국 롱펠로우 에너지(Longfellow Energy)사가 보유하고 있는
    [오클라호마 육상 네마하광구(이하 네마하광구)] 지분 40%를 인수했다.

    이를 통해 GS글로벌 20%,
    GS에너지와 화인파트너스가 각각 10%의 지분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네마하광구는 원유부존이 확인된 곳으로
    10년간 총 400여개 공의 시추를 계획 중이며,
    현재 10여개의 시추공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GS에너지는
    2012년 6월 GS칼텍스와 대규모 영업양수도를 통해
    가스&파워, 녹색성장사업은 물론,
    GS칼텍스가 보유하고 있던 캄보디아 블록 A광구를 포함한
    [해외 유전개발 광구] 4개를 동시에 인수하기도 했다.

    4개 광구 중 캄보디아 1개 광구,
    인도네시아 2개 광구는 현재 탐사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태국 광구의 경우,
    2012년 7월 이후 일본계 파트너 MOECO 사와 공동으로
    상업생산을 개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SK, GS와 달리
    [에쓰-오일]과 [현대오일뱅크]는
    장기공급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 노선을 확보한 만큼,
    해외자원개발 보다는
    기존 사업에 경쟁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2011년 완료한 온산공장 증설 프로젝트를 유지하며
    정유·석유화학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해외 자원개발에 대한 계획은 없다."

       - 에쓰-오일 관계자

     

    실제 에쓰-오일의 경우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기업인 아람코와
    20년 단위의 장기공급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원유공급선을 확보한 상태다,

     

    이를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고도화설비 확충은 물론
    단일공장 세계 최대 규모의 파라자일렌(PX) 시설을 확보한 상태다.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석유공사와 부지사용과 관련한 협상을 진행중인 가운데,
    대규모 투자를 계획중이다.

    아직 구체적인 투자 계획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상유전으로 불리는 고도화설비(RFCC)를 기반으로
    병산되는 프로필렌을 활용한 기능성 플라스틱 분야의 강화가 예측되고 있다.

    또한 세계 최대 석유기업인 아람코와 함께
    공장이 위치한 울산지역에 추진중인
    동북아 오일허브 프로젝트에도 한 몫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현대오일뱅크]도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은 없는 상태다
    .
    대신 윤활기유 및 석유화학 쪽으로의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1월 충남 대산공장에 윤활기유 공장을 착공한
    현대오일뱅크는 쉘(Shell. 40%)과 함께 출자한 현대쉘베이스오일(주)를 설립,
    일일 2만배럴 처리 규모의 윤활기유 공장을 건설중이다.
    이 시설은 오는 2014년 중순께 상업생산에 돌입하게 된다.

    또한 윤활유 신제품 [엑스티어(XTeer)]를 출시하고,
    본격적으로 자동차 엔진오일 시장에도 진출했다.

    글로벌 에너지기업 쉘과 합작한 윤활기유 공장이
    2014년 완공되면
    윤활기유부터 윤활유 제품까지 자체 생산할 수 있는
    수직계열화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엑스티어는 자동차용 엔진오일로
    올해 첫 제품 생산을 시작으로
    오는 2014년까지 연간18만 배럴의 완제품을 생산,
    내수와 수출을 통해 판매할 예정이다.

    일본 코스모석유와 합작한 제2BTX공장도
    지난 4월 상업가동에 성공했다.

    총 공사비 5,300억원이 투입된 신규 BTX공장은
    벤젠 15만t, 파라자일렌 85만t 등의 방향족 제품을 생산하는 시설이다.
     
    이번 설비 증설로 기존 연 50만t에서 150만t 규모까지
    석유화학 부문 생산능력을 3배 가까이 확충하게 됐다.

    또한 전체 매출액에서 석유화학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을
    9%→14%로 늘리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