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의 경제 실현 못했더라면..."생각만해도 끔찍"사실상 기름 한방울 나지 않지만..."세계 6위 명실상부 석유강국"
  •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던 대한민국이
    [원유]를 들여와 휘발유 등 [석유제품]을 생산한다는 것은 당시에는 [꿈]이었다.

    1950~1960년대 당시 우리나라 에너지공급구조는
    대기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석탄을 중심으로 한 고체연료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미국의 원조를 벗어나기 위한 산업화 추진을 위해서는 석유산업의 육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다.

    우리도 한번 잘 살아보기 위해 추진된 정유산업은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4사로 거듭났으며
    명실상부 세계 최대 규모 및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구축한 상태다.

    특히 우리나라는 IMF, 금융위기 등을 거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하지만 단 한번도 국민 혈세인 공적자금 지원 없이
    그동안 국내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넘어 전세계 수출 시장을 누비고 있다.

    50여년이 흐른 지금 국내 석유산업의 위상은 크게 흔들리고 있다.

    안으로는 정부와 국민들의 산업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오해를 받고 있으며,
    밖으로는 LNG, 셰일가스 등 새로운 에너지원의 출현과 경쟁국들의 신증설 영향으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출 수 없다.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PX 등 석유화학분야로 몸집을 불리고,
    특수플라스틱,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에너지로 그 영역을 넓히며
    [제2의 창조경제]에 나선 정유산업을 조망해 본다.


    ①50년 전부터 [창조]에 나선 정유산업
    ②3만5천배럴에서 300만배럴까지 [규모]의 경제 실현
    ③깨도 또 깨고...[지상유전]을 건설하라!
    ④에너지영토 확장..."우리땅 우리 바다는 아니지만..."
    ⑤세계 최고 품질로 세계 시장 누빈다
    ⑥정유 넘어 PX 등 석유화학, 윤환유까지 경계 허물다
    ⑦미래에너지로...[제2의 창조경제] 나섰다


  • 우리나라 정유산업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드물게 규모면에서 엄청난 성장을 보여왔다.

     

    기름 한방을 나지 않는 형편에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 만이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 남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한 것일까?

     

    3만5,000배럴로 시작된 정제능력은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S-OIL)], [현대오일뱅크] 등 4사의
    5개(울산, 여수, 온산, 대산, 인천) 공장의을
    원유정제능력은 어느덧 300만배럴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갈수록 수요가 늘고 있는 PX(파라자일렌) 등
    아로마틱제품(벤젠, 톨루엔, 자일렌) 생산을 위한 나프타 스플릿터까지 포함할 경우
    이미 300만배럴을 훌쩍 넘어선다.

     

    이처럼 우리나라 일일 정제능력이
    50년 사이 3만5,000배럴에서 300만배럴로
    약 100배 늘어날 수 있었던 이유는 뭘까?

    국내 정유 산업은
    1962년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출범과 역사를 같이 한다.

    당시 정부는 석유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없이는
    경제계획의 성공적인 추진이 불가능하다고 봤다.

    국가 경제의 기간산업, 그리고 수입대체 산업의 핵심 사업으로
    [정유공장 건설]을 최우선 주력 사업으로 채택했다.

    1964년 일일 생산량 3만5,000배럴 규모에
    국내 최초의 유공(현 SK에너지) 울산 정유 공장이 가동을 시작했다.

    이후 산업화와 더불어 석유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국내 정제 시설은 신·증설을 거듭하면서
    2013년(6월 기준) 일일 처리 능력이 294만9,000배럴을 육박하는 등
    세계 6위 규모의 명실상부한 석유강국으로 성장했다.

  • ▲ ⓒ 대한석유협회
    ▲ ⓒ 대한석유협회



    우리나라 정유공장이 대규모 시설을 갖추게 된 것은
    당시 상황을 고려하면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밖에 없었다.

    국토 여건상 정유공장 입지 조건에 적합한 지역이 한정돼 있는 가운데
    늘어나는 석유 수요를 충족시켜야 했기 때문이다.

    국내 정유업계 규모의 경제를 극대화할 수 있었던 것은
    [설비 투자]의 결실이다.

    정유사들은 1990년대부터 대대적인 생산시설 확장에 나섰다.

    국제유가가 오르면 마진이 적어지는 정유업의 속성 상
    생산규모를 대형화해 [원가]를 낮춰보자는 계획이었다.

    그 결과 1980년대 64만배럴 이었던 국내 정유사의 정제능력이
    1996년에는 243만8,000배럴로 급격히 늘어났다.

    현재 정제 능력 1위인 미국에서조차
    일일 정제능력이 10만배럴에도 못 미치는 설비가 수두룩 하다.
     
    하지만 규모가 가장 작은 현대오일뱅크가 39만배럴 규모며,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인천공장과 합하면 100만배럴이 넘는다.

     

    베네수엘라의 파라구아나 정제시설이
    단일공장 규모로 100만배럴로 세계 1위며,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가 2,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에쓰-오일 역시 단일 규모로 10위권에
    현대오일뱅크도 20위권내에 꼽힌다.

     

  • ▲ ⓒ 대한석유협회

     

    실제 [SK이노베이션]은
    50년 전 보다 약 37배 증가한 111만5,000배럴로,
    국내 1위 규모의 정제능력을 갖추고 있다.

     

    [GS칼텍스]는
    1969년 전남 여수공장에서
    창립 초기 하루 6만배럴 규모의 정제능력을 시작으로
    현재 우리나라 하루 평균 석유소비량의 30% 이상에 해당하는
    77만5,000배럴 규모에 이르렀다.


    [에쓰-오일]은 울산시 울주군 온산공장에서
    9만3,000배럴의 제1기 원유정제시설을 상업 가동한 이후
    2차례의 증설을 거쳐 
    66만9,000배럴의 원유 처리 능력을 자랑한다.

    특히 1997년 이전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입해
    지상유전으로 불리는 고도화시설을 증설한 [에쓰-오일]은
    정유사들이 어려움을 겪을 때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1978년 일일 정제 능력 1만 배럴 규모였던 [현대오일뱅크]는
    충남 대산공장에서 현재 39만 배럴 규모의 정제능력으로 확장된 상태다.

     

    1990년 당시 유가가 오르면 마진이 적어지는 정유업의 속성 상
    생산규모를 대형화해 [원가]를 낮춰보자는 정유업계의 전략이
    대성공을 이룬 것이다.

     

    정유업계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

    "우리나라 정유산업의 경우
    [설비]는 물론, [수출] 및 [가격]까지도
    철저한 정부의 통제를 받아 왔다.

     

    그렇다 보니 미래를 내다보는  대규모 투자가 쉽지 않았다.

     

    오죽했으면
    정부에 소규모 증설에 나선다고 거짓(?) 보고를 하고
    실제로는 대규모 증설을 했겠나?

     

    당시 이같은 무모한 도전을 하지 않았더라면
    글로벌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또 철강, 석유화학은 물론, 자동차 등 연관산업 역시
    고도성장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