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한수원 순손실 벌써 2조
  • ▲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자력발전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자력발전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자력발전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국내 신규 원전 건설이 전면 중단되면서 한국수력원자력 협력사 57%가 이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올해 한국전력과 한수원의 순손실이 2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탈원전과 관련성은 부인하고 있다. 
     
    3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원전산업 생태계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한전기술과 한국수력원자력의 협력사 697곳 중 400곳의 산업 이탈 조짐이 우려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보조기기업체는 85곳, 예비품 업체는 315개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보조기기를 해외수주를 하는 경우에도 건설 공기에 따라 공백기가 발생해 산업 이탈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특히 밸류체인별 산업유지 여부를 물은 결과, '설계 분야'에서 앞으로 산업을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0%에 그쳤다. 다른 분야인 △시공업체는 27%  △보조기기업체 33% △예비품업체 17% △정비서비스 업체 25%를 각각 기록했다. 

    설계를 포함한 대부분의 부문에서 '미정' 응답이 가장 많았는데 탈원전에 따른 업계의 불안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탈원전이 가져온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학계도 급습했다. 카이스트(KAIST)의 올 2학기 원자력학과 지원자는 단 한명도 없었다. 이밖에 주요 대학의 원자력 전공 기피 현상은 가속화되고 있다. 

    일자리 급감도 예고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원전 인력은 해외 원전의 추가 수주가 없으면 현재 3만8800명에서 2030년에는 1만명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정부는 탈원전으로 원전산업이 축소될 수 있으나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에너지분야의 전체 일자리는 늘어난다는 입장이다.

    탈원전에 따라 한전과 한수원이 나란히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중장기재무관리계획에 따르면 올해 한전의 순손실은 4480억원으로 전망됐다. 

    한수원의 적자는 더 심각하다. 올해 순손실이 1조2058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의 적자는 2022년까지 계속돼 부채비율은 132%에서 153%로 치솟을 것으로 예측됐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원전생태계의 붕괴는 시간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원전업계 관계자는 "한전과 한수원 같은 우량기업이 순식간에 무너지고 있는데 누가 나서서 원자력사업을 하겠느냐"면서 "원전 밸류체인이 끊기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