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차 레이더 동급 최장 수준 탐지거리·고해상 카메라로 경쟁력 갖춰
  • ▲ ⓒ현대모비스
    ▲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는 자체 기술로 독자 개발한 중거리 전방 레이더와 전방 카메라 센서를 오는 9월부터 국내 상용차에 양산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 트럭 등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용차에 첨단센서가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회사가 개발한 독자센서는 레이더와 카메라 센서간 데이터 융합을 통해 전방충돌방지보조(FCA)기능을 구현한다. 앞차와 적정거리를 계산해 위험상황에서 자동으로 속도를 줄여주는 기술이다. 

    전방 카메라 센서는 다중 연산 장치를 적용해 고해상 영상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분석하는 정보 처리 능력을 확보했다. 중거리 전방 레이더도 상용차 제품 중 최장거리 수준인 170m의 탐지거리를 갖고 근접 거리와 동일 각도에서 여러 대상을 동시에 식별하는 우수한 분해능력과 거리해상도를 갖췄다.

    전세계적으로 상용차 안전규제가 강화되는 흐름 속에서 현대모비스는 독자센서를 통해 선제 대응할 방침이다. 또한 초고속 통신(5G)기반의 차량 제어 기술과 연계해 무인화물 트럭 등 차세대 물류 운송시스템에 필요한 기술들을 확보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일각에서는 승용차보다 상업용 차량부터 완전 자율주행이 본격적으로 상용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상업용 차량은 운송사업자 등 대량 구매력이 높은 고객 기반을 두고 있으며 지정된 구간을 오가기 때문에 변수가 적다.

    이에 따라 글로벌 상용차 제조사들은 미국과 중국 시장에 '군집 주행' 등 차세대 화물 트럭에 적용하기 위한 첨단 무인 운송시스템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이성훈 현대모비스 차량부품영업사업부장(상무)은 "승용차 뿐 아니라 상용차 부문에서도 안전편의 기술과 첨단자율주행시스템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기술 내재화를 통해 신뢰성과 가격을 모두 만족시키는 전략으로 글로벌 상용차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