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할리스커피 등서 소규모 감염 확산매장별 방역수칙 강화하고 고객 우려 잠재우기 총력좌석 30% 축소·전자출입명부 QR코드인증 등 다양
  • ▲ 코로나19 비상, 줄지어선 선별진료소ⓒ연합
    ▲ 코로나19 비상, 줄지어선 선별진료소ⓒ연합
    외식업계발(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하자 외식업계가 매장별 방역수칙을 한층 강화하며 고객 우려 잠재우기에 나섰다. 최근 롯데리아, 스타벅스, 할리스커피 등에서 확진자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지역사회의 감염확산 우려가 커져지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서울과 경기 모든 매장의 좌석을 30% 이상 축소하는 등 방역 수칙을 강화한다. 또 전국 매장에서도 매장 위생 수칙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사이렌 오더 시에도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는 안내 문구를 보내고 출입문과 계산대에 안내 스티커를 부착했다.

    스타벅스는 또 직원들이 테이블에 착석하는 고객에게도 지속적으로 위생 안내를 진행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주문 시에는 거리두기 안내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이날부터 예정된 스타벅스 버디 캠페인의 일정도 2주 후로 연기하기로 했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 두기에 동참하고 예상치 못한 고객 집객 등 안전 문제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기 위해 행사 연기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투썸플레이스는 정부 방침에 맞춰 고객에게 마스크 쓰기를 요청하는 공지를 각 매장에 붙이고 매장에 테이블 간격을 더 넓히라는 가이드라인을 발송한 뒤 강력 준수를 요구했다.

    할리스커피도 고객 건강 지킴이 수칙캠페인을 실시한다. 캠페인 행동지침은 매장 이용 시 마스크 의무 착용하기, 음식 섭취 전·후 마스크 착용하기, 최소 1m이상 간격 두고 앉기, 손 소독제로 손 소독하기다. 매장에서는 매 시간마다 해당 내용을 전하는 안내방송을 하고 있다. 모든 근무자들도 마스크와 라텍스 장갑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디야커피는 최근 전국 전 가맹점에 코로나19 카페 생활방역지침 강화 공문을 발송하고 고객들에게 지그재그로 앉거나 한 방향으로 앉기를 권고하도록 했다. 커피빈도 지난주 초부터 거리두기를 위해 매장 내 일부 테이블을 이용하지 말라고 안내하고 있다.

  • ▲ 파주 스타벅스 관련 확진자 확산ⓒ연합
    ▲ 파주 스타벅스 관련 확진자 확산ⓒ연합
    CJ푸드빌은 지난 5월부터 뷔페형 식당의 음식을 이용할 때 마스크뿐 아니라 위생장갑까지 착용하게 한다. 또 집기도 30분마다 교체·소독하는 등 정부 방역 수칙보다 강화된 수준으로 업장을 관리하고 있다.빕스와 계절밥상에서는 전자출입명부 QR코드인증 또는 수기로 출입 명부를 작성하도록 했다. 

    한국맥도날드도 지난달 말부터 매장 로비 바닥과 테이블마다 사회적 거리 두기 스티커를 부착해 고객이 준수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세에 맞춰 매장 방역을 철저히 하고 있지만 외식매장의 특성상 고객들이 마스크를 벗고 음식을 섭취하기 때문에 완벽하게 방역하기가 어려운 상황"라면서도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는 것에 대비해 매장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 안팎에선 코로나19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 국면에 들어서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던 외식경기가 재확산으로 다시금 위축되는 게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는 코로나19가 대유행한 올 4월71까지 곤두박질 쳤다. 이후에는 확산세가 다소 누그러지고 긴급재난지원금 등으로 지난달에는 84까지 회복됐다.

    상황이 이렇자 침체된 외식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캠페인도 지난 16일 잠정 중단됐다. 이 캠페인은 주말 다섯 번 외식 서비스나 배달 앱을 이용하면(2만원 이상) 여섯 번째 결제 시 1만원을 환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업계 관계자는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까지 외식업체들의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면 "며 "최근 코로나19가 진정세를 보이고 긴급재난지원금으로 기지개를 펴나했지만 또다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해 긴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46명 늘어 누적 확진자가 1만5761명이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 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35명, 해외유입이 11명이다. 지난 14일부터 이날까지 닷새간 발생한 확진자는 991명으로 1000명에 육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