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만에 법정관리 신청쌍용차-마힌드라, 사전 교감說수만명 일자리 날아갈라… 정부·산은 또 고심15분기 연속 적자 지속생존 의문
  • ▲ ⓒ쌍용자동차
    ▲ ⓒ쌍용자동차

    쌍용차의 텅빈 통장(텅장)을 채워줘야 하나.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쌍용차가 지난 2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 회생을 신청했다. 법정관리 신청은 지난 2009년 이후 11년 만이다.

    만기가 도래한 빚을 갚지 못한 것이 원인이 됐다. 이달 14일 외국계 금융기관에 600억원을 연체한데 이어 21일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에도 각각 900억, 150억원을 상환하지 못했다. 지금 당장 갚아야 할 빚만 1650억원에 달한다.

    쌍용차의 법정관리 신청은 산업은행조차 예상하지 못했다. 만기 연장을 고민하던 산업은행은 쌍용차에 제대로 한방 먹은 꼴이 됐다.

    이같은 초강수는 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법정관리와 함께 절차개시 여부 보류 신청서(ARS프로그램)을 동시에 신청한 것을 보면 쌍용차의 속내를 알 수 있다. 물론 대주주인 마힌드라와도 충분히 교감했을 것이다. 

    쌍용차는 앞으로 3개월 동안 투자자 유치와 채권단 합의를 동시에 이끌어 내야 하는 숙제를 떠안았다.

    정부 역시 고심이 크다. 사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을 약속하면 쌍용차 회생은 문제없다. 시간이 걸리긴 하겠지만 투자자 또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언제까지 마냥 혈세만 퍼부을 순 없단 점이다. 자칫하단 밑빠진 독에 물 붓기란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

    쌍용차는 2017년 1분기부터 올해 3분기까지 15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부채 규모는 날로 커지고 있다.

    실제 쌍용차의 자본 잠식률은 3분기 연결 기준 86.9%에 달한다. 2019년 말(46.2%)과 비교해도 크게 늘었다.

    모든 기업이 그렇듯이 빚이 있을 순 있다. 그러면 회사를 운영하며 부채를 상환해 나가는 것이 정상이다. 하지만 쌍용차는 돌리면 돌릴수록 적자만 쌓이는 중이다. 정부가 쌍용차 지원에 부담을 느끼는 결정적 대목이다.

    내년 전망도 그리 밝지 못하다. 연초 브랜드 첫 전기차 출시를 준비하고 있지만, 흥행은 장담하기 어렵다. 시장에는 이미 경쟁력이 높은 동급 제품들이 즐비하다.

    전기차 이외 신차는 없다. 티볼리와 같은 대박 효과는 기대조차 할 수도 없는게 쌍용차의 현실이다. 그나마 임영웅 효과로 렉스턴 판매가 늘고 있단 점은 위안으로 다가온다.

    이런 논리라면 정부가 쌍용차에 지원을 못한다고 하면 그만이다. 하지만 현실은 말처럼 쉽지 않다.

    쌍용차가 법정 관리에 들어가면 협력사를 포함해 생계를 위협받는 인원만 수만명이다. 범위를 확장해 가족들까지 합친다면 수십만명으로 늘어난다. 일자리를 최우선으로 여기는 정부로선 간과하기 어렵다.

    무엇이 정답일까. 답을 찾기 위한 정부의 고심은 오늘도 이어지고 있다. 분명한 것은 최소한의 파장으로 이 사태를 다시 한번 넘겨야 한다는 것이다.

    혈세 투입과 일자리 유지 사이에서 정부가 어떠한 결정을 내릴 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