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제3회 정부혁신 최초·최고' 사례 9개 선정선정된 기관에 인증패 부여 … 벤치마킹 지원도
  • ▲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5월31일 오전9시부터 온라인, 원스톱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뉴시스
    ▲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5월31일 오전9시부터 온라인, 원스톱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뉴시스
    정부가 지난해 도입한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서비스가 정부혁신 사례 중 세계 최초 사례로 선정됐다.

    행정안전부는 16일 한국행정연구원과 공동으로 이런 내용의 '제3회 정부혁신 최초·최고' 사례 9개를 선정, 발표했다. 세계 최초 사례 1개, 국내 최초 사례 4개, 국내 최고 사례 4개를 각각 선정했다.

    정부혁신 세계 최초 사례로는 금융위원회의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이 선정됐다.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은 은행을 방문하지 않아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더 좋은 조건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로, 우리나라에서 지난해 5월31일 세계 최초로 도입됐다. 대출상품을 온라인으로 비교하는 서비스는 해외에도 있었지만, 금융회사 간 대출상품 비교와 대출 갈아타기까지 한 번에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는 한국이 처음이다.

    특히 최근 도입 1년을 맞이한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는 이용자 수 20만명, 대출 이동 규모 10조원을 넘어섰다. 이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한 국민 1인당 연간 162만원의 이자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최초 사례는 △서귀포시 공공 산후조리원(2013년 3월) △창원특례시 공공 자전거(2008년 10월) △경상남도 조상 땅 찾기 서비스(1993년 4월) △청주시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물 노란색 표시방법 적용(2013년 5월)이 선정됐다.

    국내 최고 사례는 공공 어린이 놀이터, 공공 산후조리원, 공공 자전거 등 3개 분야에서 공모를 진행해 세종시와 경기 시흥시(공공 어린이 놀이터), 서울 송파구(공공 산후조리원), 서울시 '따릉이'(공공 자전거)가 선정됐다.

    행안부는 선정된 기관에 인증패를 부여해 자긍심을 높이고, 기관 간 활발한 벤치마킹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혁신 최초 인증을 받고자 하는 기관은 행안부에 상시 제출 가능하며, 최고 사례는 매회 분야를 달리해 공모한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앞으로도 인구변화·지방소멸 등 우리 사회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혁신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