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간 1조6000억 돈 넣어야한전 상반기 적자만 1조… 대선공약 부담에 끙끙학령인구 감소, 중복 투자… '중단 요구'도
  • ▲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거래소, 한전KPS 등에 대한 9개 기관 국정감사에서 위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거래소, 한전KPS 등에 대한 9개 기관 국정감사에서 위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전력이 2022년 개교를 목표로 추진중인 한전공과대 건설·운영비용이 13년 동안 약 1조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곽대훈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한전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전은 올해부터 2031년까지 13년 동안의 대학 건설 및 운영비를 총 1조6112억원으로 추산했다.

    한전이 지난해 9월 공개한 용역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한전공대는 학생 1천명, 교수 100명, 부지 120만㎡ 규모로 오는 2022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다.

    태동기(2019~2021년)에는 건설 비용등이 5202억원, 편제를 완성하는 육성기(2022~2025년)에는 운영비 등 4757억원, 추가 확장에 나서는 성장기(2026~2031년)에는 6153억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전망했다.

    6210억원의 건설비는 구체적으로 캠퍼스 건설 4060억원, 인프라 비용 1520억원, 부지 조성비 330억원, 수익용 기본재산 300억원 등으로 이뤄진다. 대학설립 부지는 부영그룹이 나주부영CC 전체 부지의 56%에 이르는 40만제곱미터(㎡)를 무상 제공하며 큰 비용부담 없이 확보했다.

    또 개교 이후 확장을 뺀 순수 운영비는 10년 5641억원이다. 연평균 564억원이다. 한전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매년 약 200억원을 보조하면 운영비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확정된 건 아니다.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개교가 늦어지지 않도록 한전이 먼저 사업비를 투자해 한전공대를 지으면 이후 시설 사업 예산을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건설이 추진된다. 재계에선 한전이 발전 원가 비용 부담 증가로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인 만큼 비용부담이 큰 한전공대 설립을 지금이라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전의 경우 올해 연료비 및 환율 상승 영향 속에 부채 규모가 지난해 114조2천억원에서 올해 126조5천억원으로 12조3천억원 늘었다. 한전은 올 상반기 9285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또 전기료 누진제 개편으로 한전의 실적 악화를 둘러싼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한전은 비용 전액을 자체 부담하기 쉽지 않으며,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부 지원은 확정되지 않았다.

    호남지역은 연구·산업기반도 전무한데다 인근 광주광역시에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있는 점도 중복투자라는 지적도 있다. 

    지난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국내 대학 정원이 남아돌고 한전 재정이 악화했다는 이유로 공대 설립을 반대했다.

    비용 증가등의 문제로 소액주주들이 집단행동에 나설 가능성도 상존해 있다.

    한전공대 설립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당시 내세운 호남지역 대표 공약이다. 한전은 지난 8월8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한전공대 설립 및 법인 출연안을 가결했다. 또 이달 중순 이사회 구성과 정관 등을 의결하는 한전공대 학교법인 창립총회를 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