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신용공여액 2.3조원 규모…은행권이 78% 차지
  • 올해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기업들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으나 정부와 금융권의 유동성 지원에 따라 오히려 부실 기업은 작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8일 금융감독원이 3508개 기업을 대상으로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한 결과 157개 기업이 부실징후 기업으로 선정됐다. 지난해보다 53개가 감소한 규모다. 

    대기업은 4곳으로 전년보다 5곳이 줄었고, 중소기업은 153곳으로 지난해보다 48곳이 감소했다. 

    정기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다. 

    A·B·C·D 평가등급별로 필요한 사후조치를 수행하는데 C·D등급은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된다. 

    C등급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고 D등급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이다. 

    등급별로 살펴보면 C등급은 올해 66곳으로 전년보다 7곳 증가했다. 반면 D등급은 91곳으로 전년보다 60곳이 줄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이 17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도매·상품중개 13곳 ▲부동산 13곳 ▲고무·플라스틱 12곳 ▲기계장비 12곳 ▲자동차 12곳 순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코로나19 관련 금융권의 유동성 지원 효과로 인한 연체율 하락, 회생신청 기업 감소 등으로 D등급 기업 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신용위험평가 과정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감안하고 3분기부터 기업실적이 회복 추세인 점도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추세는 우리나라만의 일이 아니다. 독일, 영국, 프랑스, 호주 등 주요 선진국에서도 올 상반기 부도기업수가 과거 5년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2조3000억원으로 은행권이 1조8000억원을 차지한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재분류때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2355억원으로 추정돼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