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속도 논란에 28㎓ 필요성… LTE보다 20배 빨라전파 도달거리 짧아 투자 부담, 생태계 조성도 숙제시장 수요 만들어내는 것이 관건… 철저히 대비해야
-
'5세대(5G) 불통' 논란 때마다 등장하는 28㎓(기가헤르츠)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5G 품질 개선의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수익성을 낼 만한 사업모델이 마땅치 않아 당장 활성화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5G 상용서비스를 시작하며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하지만 1100만명에 달하는 가입자 대부분은 체감 속도에 불만을 표시하며 기대에 못 미친다는 반응이 여전하다.
이통사들은 상용 초기 LTE보다 20배 빠르다는 광고를 내세웠지만, 품질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두 차례에 걸친 5G 품질평가에서 5G 속도는 LTE보다 4배 정도 빠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는 5G가 터지지 않는 곳이 대다수다.
이통 3사가 상용화한 5G 서비스는 3.5㎓ 주파수에서 4세대 이동통신(LTE)과 망을 함께 쓰는 비단독모드(NSA) 방식이다.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28㎓ 주파수 대역과 5G만 사용하는 SA(단독모드)를 함께 적용해야 한다.
5G는 크게 저주파 대역인 '서브6(Sub-6)'와 초고주파 대역으로 나뉜다. 이중에서도 3.5㎓와 28㎓ 대역이 정부가 5G용으로 할당한 주파수에 해당된다. 같은 5G 주파수라도 28㎓ 대역이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진짜 5G'로 불린다.
28㎓는 3.5㎓ 대역에 비해 10배 넓은 대역폭을 확보하고 있다. 주파수는 대역이 넓을수록 속도와 용량을 높일 수 있다. 28㎓는 이론상으로는 최고 20Gbps의 네트워크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문제는 28㎓ 대역의 전국망 구축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초고대역의 경우 전파 도달거리가 짧다보니 저대역 주파수에 비해 기지국과 장비를 더 촘촘히 설치해야 한다. 많은 투자를 수반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구현을 위한 생태계도 아직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현재 이통사들은 28㎓ 대역의 기지국을 거의 설치하지 않은 상태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8년 5G 주파수를 할당하면서 이통3사가 올해까지 28㎓ 대역 기지국을 1만 5000개씩 설치해야 한다는 의무를 부여했다.
이통사들은 곤란한 입장이다. 5G 서비스를 대표할만한 서비스는 물론이고 수요도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당장 수익성이 나기 어려운 28㎓ 전국망 구축에 나서기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주파수의 특성이 거의 빛과 같아서 과장되게 포현하면 가로수에 하나씩은 기지국을 세워야 할 정도"라며 "투자비용이 많이 드는데, 수요는 없기 때문에 수익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통사의 28㎓ 대역 투자가 늦어지자 특정 지역에 한정해 민간사업자에게 28㎓ 주파수를 할당하기로 했다. 네이버나 삼성, 현대자동차 등 다른 기업도 '5G 특화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결국에는 3.5㎓와 더불어 28㎓ 대역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다만 수요를 창출시킬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먼저라고 설명한다. 때문에 28㎓주파수 대역 활용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와 이통3사는 우선 기업용(B2B)나 인구 밀집지역(핫스팟)을 중심으로 28㎓ 대역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스마트팩토리나 스마트병원, 스마트모빌리티 등 기업 특화 서비스에 우선 적용하는 방식이다.
김용희 숭실대학교 교수는 "28㎓ 관련 기술이 성숙 단계에 오르는 동시에 시장 수요를 만들어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가 돼야 한다"면서 "수요 활성화에 수년이 걸리는 만큼, 정부와 이통사들은 관련 서비스를 준비해 5G 시대를 주도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