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가계대출 잔액 1845.3조원… DSR 70%이상 299만명은행권 연체율 3.5년·비은행권 2.5년만에 최고…대부업체는 11.5%고금리에 원리금 상환부담 커져… 자영업자 매출·순익도 동반 감소
-
300만명쯤의 가계대출자는 원금과 이자를 갚느라 최소한의 생계를 이어가기도 힘겨운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고금리 여파가 본격화하면서 실물 경기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말 국내 가계대출 대출자 수는 모두 1977만명으로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1845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대출자수와 대출잔액이 각각 4만명, 15조5000억원 줄었다. 다만 감소율은 0.2%, 0.8%로 미미했다. 1인당 평균 대출잔액도 3개월 사이 9392만원에서 9334만원으로 58만원(0.6%) 감소하는데 그쳤다.전체 가계대출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40.3%로 추산됐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로, 해당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즉, 현재 가계대출자들은 평균 연소득의 40%를 금융기관에서 진 빚을 갚는 데 쓰고 있는 셈이다.DSR이 70% 이상, 100%미만인 대출자 124만명까지 더하면 DSR 70% 이상 대출자수는 299만명까지 불어난다. 보통 당국과 금융기관 등은 DSR이 70% 정도면 최저 생계비만을 빼고 거의 모든 소득을 원리금 상환에 쏟아부어야 하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코로나19 팬데믹 3년을 거치며 부동산·주식 등 자산 투자와 생활고 등으로 가계대출이 크게 불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한 2021년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금리 상승도 이어져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졌다.소득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대출을 보유한 대출자수가 늘면서 연체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를 보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3월말 기준 은행과 비은행 금융기관에서 각 0.30%, 1.71%에 이르렀다. 은행권 연체율은 2019년 11월 0.30% 이후 3년 6개월 만에, 비은행권 연체율은 2020년 11월 1.72%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특히 부동산 시장 침체와 금리 인상이 겹치며 5월 대부업 연체율은 10%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대부금융협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월 기준 대부업체 25개사의 연체율은 11.5%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6.7%와 비교하면 4.8%포인트(p) 증가한 수치로, 올해 1월 8.7%와 비교해도 2.8%p 늘었다.금융당국에서는 대출상환 부담으로 인한 연체율 증가가 민간 소비 회복까지 막아 실물 경기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의 ‘자영업자 2023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자영업자 500명 가운데 올해 상반기 매출과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답변이 각각 63.4%, 63.8%로 집계됐다. 평균적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8%, 순이익은 9.9% 각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영업자들의 50.8%는 하반기 매출이 상반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우려했다. 가계 대출 부담이 늘면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은 것으로 분석된다.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비 회복이 더딘 것은 고금리, 고물가 부담 때문인데, 특히 고금리의 부담은 올해 상반기에 충분히 나타나지도 않았다”면서 “고금리가 소비·투자·주택가격에 본격적으로 영향 미치는 데 반년~1년의 시차가 있기 때문으로 하반기부터 고금리 여파가 뚜렷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