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수펑크에 총수입 전년比 44.2조원 부족… 법인세 20조·소득세 14조원↓국가채무 한 달 새 12조원 증가… 올 전망치 1101.7조원보다 8.3조원 초과내년도 재정수지 -92조원·적자비율 -3.9% 전망… 재정준칙은 국회서 낮잠기재부, 10월 재정동향 발표
-
나랏빚이 1100조 원을 돌파했다. 재정수지는 66조 원 적자를 기록하면서 나라살림에 빨간불이 켜졌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과 동시에 강조했던 건전재정이 공염불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12일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10월 재정동향에 따르면 1~8월 정부의 총수입은 394조4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44조2000억 원 감소했다.총수입이 줄어든 가장 큰 원인은 국세수입 감소다. 같은 기간 국세수입은 241조6000억 원으로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을 중심으로 1년 전보다 47조6000억 원이나 줄었다.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기업실적 악화로 법인세는 1년 전보다 20조2000억 원 펑크 났다. 소득세는 부동산 거래감소 영향으로 13조9000억 원이 덜 걷혔다. 부가세는 6조4000억 원이 부족했다.세외수입은 19조3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조8000억 원 감소했지만, 기금수입은 지난해보다 6조2000억 원 증가한 133조5000억 원을 기록했다. 기금수입의 경우 보험료 수입 5조3000억 원, 법정부담금 9000억 원이 각각 늘면서 지난해보다 수입이 증가했다.올 1~8월 총지출은 425조8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3조5000억 원 감소했다.예산지출의 경우 코로나19 대응 사업 축소, 지방교부금 감소 등으로 1년 전보다 16조9000억 원 줄었다. 기금의 경우 소상공인 코로나19 손실보전금 지급 종료 등으로 지출이 36조 원 감소했다.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8월 말 기준 31조3000억 원 적자로 나타났다. 연간 적자 전망치인 13조1000억 원보다 훨씬 높았다. 역대급 세수펑크로 수입이 쪼그라들었기 때문이다.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뺀, 정부의 실제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66조 원 적자를 기록했다. 7월 말 기준 마이너스(-) 67조9000억 원보다는 적자 폭이 소폭 줄었지만, 연간 전망치(-58조2000억 원)를 이미 초과하면서 나라살림에 비상이 걸렸다.8월 말 현재 국가채무(중앙정부)는 한 달 전보다 12조1000억 원 증가한 1110조 원을 기록, 1100조 원을 돌파했다. 정부는 올해 국가채무 전망치를 1101조7000억 원으로 잡아놨는데 이미 8조3000억 원이나 초과한 것이다.이에 따라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도 흔들리게 됐다. 정부는 관리재정수지 적자비율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3% 이내로 관리하되,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60%를 초과하면 관리재정수지 적자비율을 2% 이내로 제한하는 내용의 재정준칙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GDP 대비 3%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도 마찬가지다. 기재부가 지난 8월 발표한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보면 내년 관리재정수지는 92조 원 적자로, 적자비율은 GDP 대비 -3.9%로 전망된다. 재정준칙 법제화가 국회에서 공전하는 가운데 윤 정부의 건전재정 운용이 헛구호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나랏빚이 급격하게 늘고있는 것도 건정재정 기조에 부담이다. GDP 대비 국가채무(중앙+지방) 비율은△올해 50.4% △내년 51.0% △2025년 51.9% △2026년 52.5% △2027년 53%으로 전망된다.한편 1~9월 국고채 발행량은 144조4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연간 총 발행한도인 167조8000억 원의 86.1% 수준이다. 9월 외국인의 국고채 순투자 규모는 외국인 보유 국고채의 만기가 도래하며 1조 원이 유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