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실질임금 333.2만원, 전년比 -2.2%임시·일용 근로시간 1.8시간 줄어… 15개월째 감소명목-실질임금 격차도 더 벌어져… 2021년 6.9만→올해 38.6만원
-
고물가·고금리 현상이 지속하는 가운데 실질임금이 올 8월까지 6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노동시장 내 상대적 취약계층인 임시·일용 근로자는 실질임금 감소와 더불어 총 근로시간이 15개월째 감소하는 등 고용한파를 직격으로 맞았다.3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9월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74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8월(370만2000원)과 비교해 4만 원(1.1%) 올랐다.상용 근로자는 397만 원으로 1년 전보다 5만3000원(1.3%), 임시·일용 근로자는 176만2000원으로 4만3000원(2.5%) 각각 올랐다. 상용 근로자의 임금총액은 올 1월 마이너스(-) 0.3%를 기록한 이후 7개월째 오름세다. 임시·일용 근로자는 앞선 6월(-0.2%)과 7월(-0.8%) 2달 연속 감소세를 딛고 반등했다.하지만 물가상승분을 고려한 실질임금은 6개월째 김소 중이다. 8월 기준 실질임금은 333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340만8000원)과 비교해 7만6000원(-2.2%) 줄었다. 감소 폭도 더 커졌다. 실질임금 감소세가 시작된 올 3월 -2.6%를 기록한 이후 5월 -0.2%까지 둔화했으나 △6월 -0.6% △7월 -1.1% 등으로 감소 폭이 확대하고 있다.올 8월까지 누계로 봐도 실질임금은 감소했다. 1~8월 누계 월평균 실질임금은 353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58만6000원)과 비교해 5만6000원(-1.6%) 줄었다. 1~8월 월평균 명목임금은 391만6000원으로 지난해(383만7000원)보다 7만9000원(2.1%) 늘었다.
-
명목임금과 실질임금 간 격차도 갈수록 크게 벌어지고 있다. 1~8월 누계 기준으로 2020년엔 명목임금 348만5000원·실질임금 349만1000원으로 실질임금이 6만 원 더 많았다. 하지만 2021년부터 명목임금이 역전해 양 사이 격차는 △2021년 6만9000원 △2022년 25만1000원 △2023년 38만6000원 등으로 벌어졌다.8월 기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 근로시간은 161.1시간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달(162.9시간)보다 1.8시간 줄었다.이에 대해 노동부는 "월력상 근로일수는 22일로 전년과 같은 데도 근로시간이 감소한 것은 건설업과 숙박·음식점업, 보건업 등의 영향"이라고 부연했다.상용 근로자와 임시·일용 근로자 모두 총 근로시간이 줄었지만, 임시·일용의 감소 폭이 15배나 컸다. 상용 근로자는 169.2시간으로 0.6시간(-0.4%) 감소했다. 이에 비해 임시·일용 근로자는 90.8시간으로 8.9시간(-8.9%) 줄었다. 상용 근로자의 경우 월력상 근로일수가 20.8일로 전년과 동일함에도 근로시간이 줄었다.임시·일용 근로자의 근로시간 감소세에 대해 노동부는 "건설업의 근로시간이 감소한 영향과 근로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숙박·음식점업, 보건업 등에서 임시·일용 근로자가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임시·일용 근로자의 총 근로시간 감소는 지난해 6월부터 12개월째 지속하고 있다. 가장 적게는 지난해 8월과 10월(각 -0.2시간) 등 0%대로 집계됐지만, 많게는 10%대까지 크게 줄었다. 감소 폭이 큰 순으로 보면 올 4월(-11.2시간), 6월(-1.4시간), 1월(-9.5시간) 등이었다. 올 8월의 감소율(-8.9시간)은 15개월 중 4번째에 달하는 수치다.상용 근로자는 7월(-1.1시간)에 이어 8월(-0.6시간)까지 2달 연속 감소했지만, 상대적으로 무난한 수준 내에서 등락하고 있다. 올해를 기준으로 최대 감소 폭은 4월 -4.2시간과 5월 -3.9시간 선이었다. 최대 증가 폭은 2월 9.2시간이었다.지난달 기준 사업체 종사자 수는 1990만7000명으로 1년 전(1959만7000명)보다 31만 명(1.6%) 늘었다. 상용 근로자는 23만4000명(1.4%), 임시·일용 근로자는 7만 명(3.6%) 각각 증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