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경제활동인구, 지난해보다 8.3명 감소… '쉬었음' 인구는 오히려 늘어정부의 '빈 일자리' 대책 마련에도 청년층 일자리 해소 못해통계청,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 발표
-
빈 일자리가 21만 개가 넘는 상황이지만, 청년층(15~29세) 10명 중 3명은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그냥 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이 1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는 1616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3000명 줄었다. 이 숫자만 보면 고무적이지만, 그냥 '쉬었음'을 택한 사람은 더욱 늘었다.비경제활동인구의 가장 큰 이유는 가사가 36.5%를 차지했으며, 재학·수강 등 20.4%, 연로 15.6%, 쉬었음 14.4% 등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그냥 쉬었다는 비중이 30.6%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가사로 인한 쉬었음이 55.9%였다.취업 준비나 구직 활동도 하지 않고 쉬었음을 선택한 인구는 232만2000명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8만3000명 늘었다.쉬었음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나이대는 60대 이상으로 1년 전보다 5만2000명 늘어난 85만2000명을 기록했다. 다음은 30대로 3만8000명 증가한 29만2000명을 보였다. 20대도 2만8000명 늘어 38만4000명으로 조사됐다. 전체 인구 중 쉬었음을 택한 비중은 20대 16.5%, 30대 12.6%로 30% 가까이 됐다. 청년층 10명 중 3명은 그냥 쉬었다는 의미다.통계청은 이번 조사에서 왜 쉬었는지를 처음으로 조사했다. 15~29세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32.5%로 가장 많았다. 일자리가 없어서라는 응답은 7.3%였다. 다음 일 준비를 위해 쉬고 있다는 응답은 23.9%, 몸이 좋지 않아서는 18.2%였다.30대는 몸이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30%로 가장 많았지만,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는 응답도 29.9%가 나와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15~39세 중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 쉬는 경우가 30%를 차지한 셈이다.40~60대에서는 몸이 좋지 않아서 쉬었다는 비중이 40% 이상을 차지했다. 60세 이상에서는 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다는 응답이 33.2%를 차지했다.통계청은 나이대가 낮으면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 쉬는 비중이 많았으며 고령층에선 건강상 문제 등 다른 이유가 있어 쉬는 경우가 많았다고 분석했다.정부가 빈 일자리 해소를 위해 3차에 걸친 '빈 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하며 공을 들이고 있지만, 청년층은 이런 정부의 노력이 무색하게도 원하는 일자리가 없다고 응답한 것이다.올해 빈 일자리는 평균 21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빈 일자리는 현재 비어 있는 상태거나 1개월 이내에 새로 채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말한다. 올 1월(18만4000명) 이후 6개월 연속으로 21만 명대를 기록하다가 8월엔 22만1000명으로 소폭 올랐다. 9월엔 21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
향후 1년 이내 취업·창업을 희망하는 비경제활동인구는 341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3000명 감소했다.나이대별로 살펴보면 1년 이내 취업이나 창업을 희망하는 비경제활동인구는 20대 45%, 30대 43.7%, 40대 33.2%, 50대 29.3%, 60대 이상 19.1% 순으로 나타났다. 젊을 수록 취업이나 창업을 희망하는 비중이 높았다.한편 올해 8월 기준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 등의 비임금근로자는 1년 전보다 3만8000명 늘어난 672만4000명으로 나타났다.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5만9000명 늘어난 141만3000명이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3만4000명이 증가한 437만 명으로 15년 만에 가장 많았다.비임금근로자 중 국민연금에 가입한 비중은 80.1%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p) 늘었고, 산재보험은 65.3%가 가입해 1년 전보다 0.9%p 증가했다.비임금근로자 중 현재 사업이나 일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응답자는 86.8%였으며 일을 그만둘 계획은 5.3%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