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60세이상 취업자 중 공공일자리 비중 27.1%까지 치솟아올해 1~10월 평균은 11.5% 그쳐… 제조·도소매 등서 민간일자리 늘어고령취업자 힘입어 10월 고용률 63.3%·실업률 2.1%… 고용지표 양호방한 中관광객 연간 200만명 전망… 취업유발효과 최대 7.9만명'니트족·빈일자리' 여전… 政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방안 적극 추진"
  • ▲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 ⓒ연합뉴스
    ▲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 ⓒ연합뉴스
    지난달 취업자 수가 34만6000명 증가하고 고용률이 63.3%를 기록하는 등 고용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니트(NEET)'족 청년과 빈 일자리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정부가 대책마련에 나선다. 니트족은 취업 경쟁에서 밀려나 노동이나 구직 의욕이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한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2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제11차 일자리전담반(TF) 회의'를 열고 고용동향과 최근 일자리 지표 특징, 고용 현안과 이슈 등을 논의했다.

    10월 고용률은 63.3%로 역대 10월 중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실업률도 2.1%로 역대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취업자 수는 제조업,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감소했지만, 보건복지업, 전문과학기술업, 정보통신업 등 서비스업 중심으로 늘어났다. 전체적으로는 1년 전보다 34만6000명이 증가하는 등 양호한 고용 흐름이 지속하고 있다.

    여성 고용률은 61.9%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최근 고용시장은 자녀가 있는 30대 여성의 고용률이 크게 증가하고 경력단절비율이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경력단절비율은 2016년 상반기 77.3%에서 올해 상반기 69.8%로 7.5%포인트(p) 하락했다.

    정부는 이러한 고용 흐름이 지속될 수 있도록 부모 맞돌봄 확산, 시차 출퇴근제 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60대 이상 고령 취업자 증가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고령자 고용현황 분석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보건복지업·제조업·도소매업 등에서 60대 이상 고령자 취업이 1년 전보다 38만2000명 증가했다. 고용률은 45.6%를 기록했다. 지난해 44.5%보다 1.1%p 높다.

    60세 이상에서 취업자 증가를 견인하는 가운데 60세 이상 취업자 중 공공일자리 외 민간일자리 기여는 확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취업자 중 민간일자리 기여는 문재인 정부 때인 2017년 78.8%에서 올해(1~10월) 88.6%로 확대됐다. 2019년의 경우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 37만7000명 중 공공일자리 관련 비중은 10만2000명으로 27.1%까지 치솟았었다. 올해는 지난달까지 평균 38만2000명이 증가한 가운데 이 중 공공일자리 관련 비중은 4만4000명으로 11.5%에 그쳤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복지(8만1000명·70세 이상·서비스직·여성), 제조(5만7000명·60대 초반·생산직·남성), 도소매(3만9000명·60대 후반·여성) 등 산업 전반에서 고루 증가했다.

    종사자 지위별로 살펴보면 상용직 증가 폭이 21만3000명으로 가장 컸으며, 임시직 9만4000명, 자영업자 8만9000명 등으로 늘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앞으로 고령층이 더욱 부가가치가 높고, 다양한 산업군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재취업 지원과 맞춤형 고용서비스 등을 강화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는 것도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중국 방한 관광객 현황 및 취업 유발효과 분석'에 따르면 올해 1~9월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129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연말까지 200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른 관광서비스 등 취업 유발효과는 6만6000~7만9000명으로 전망됐다.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다만 제조업 부문의 빈 일자리와 '쉬었음' 청년 증가 문제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빈 일자리는 9월 기준 21만5000명이었으며, 올해 1~10월 '쉬었음' 청년(15~29세)은 월 평균 41만 명이었다.

    이 차관은 "주요 산업현장에서는 여전히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쉬었음' 청년 증가 등을 고려해 '재학-재직-구직' 단계별 지원 강화를 위한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사회적 대화 복귀를 결정한 것에 대해 이 차관은 "당면한 현안과제에 대해 노사가 함께 머리를 맞대어 합리적 방안을 마련하고 민간 일자리 창출력이 제고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