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1년 국민이전계정' 발표생애주기 적자 108.8兆…유년층 151.8兆 지출17세 때 적자 3575만원…43세 흑자 3906만원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우리나라에서 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의 정점을 찍는 시기는 4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부담으로 17세 때 지출이 가장 많았다가 27세부터 흑자 인생에 진입한 뒤 61세부터 다시 적자로 전환됐다.

    통계청은 28일 '2021년 국민이전계정'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생애주기에 따른 소비와 지출 흐름에 대해 분석해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경제 자원 배분 흐름을 살펴보기 위한 지표다.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국민들의 총소비는 1148조8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2% 늘었다. 노동소득은 1040조 원으로 5.7% 증가했다. 소득과 소비의 차액을 뜻하는 생애주기 적자는 108조8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1.6% 늘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노동연령층인 15~64세에서는 179조7000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으며, 유년층인 0~14세는 151조80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65세 이상인 노년층에서도 136조7000억 원의 적자를 나타냈다.

    1인당 생애주기로 살펴보면 소비가 많은 시기는 17세로 3575만 원을 지출했는데, 대부분이 교육비 때문이었다. 17세 때 공공교육소비로 1151만 원을 지출하는 등 계속 적자 인생을 나타내다가 27세부터 소비보다 노동소득이 많아지는 흑자 인생으로 전환됐다.

    1인당 노동소득이 가장 많은 시기는 43세로 3906만 원으로 기록, 최대치를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공교육소비는 유년층에서 53조6000억 원, 노동연령층에서 21조 원이 발생했으며 공공보건소비는 유년층에서 5조3000억 원, 노동연령층에서 52조4000억 원, 노년층에서 45조9000억 원이 발생했다. 공공보건소비의 경우 고령화 영향으로 인해 노년층 지출 비중이 1년 전보다 13.7% 증가했다.

    노동소득의 경우 임금소득이 1002조8000억 원, 자영자노동소득이 37조2000억원이었는데, 이 중에서도 65세 이상의 총소득이 43조3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9.2% 늘었다. 60대 이상의 취업자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33만6000명 늘어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은 증가 폭을 나타냈다.

    이로 인해 적자 재진입 연령이 점차 늦춰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010년 이후부터 2021년까지 27~28세로 일정한 편이지만, 적자 재진입 연령은 2010년 56세에서 2021년 61세로 늦춰졌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에 대한 공공이전의 경우 출생부터 22세까지는 순유입이 되고, 23~61세까지는 순유출되며 62세부터 다시 순유입이 발생했다.

    공공이전은 정부의 재정이 어떻게 재분배되는 지 알 수 있는 지표로, 1인당 공공이전은 생애주기별 적자 시기에는 순유입이, 흑자 시기에는 순유출이 일어난다.

    전체 노동연령층은 총 174조1000억 원의 세금을 납부했으며, 납부한 세금은 유년층에 83조2000억 원, 노년층에 90조9000억 원이 재분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