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2032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발표고령화에 노동력 감소 2028년부터 본격화경제성장 지속 위해선 '90만명 필요' 전망"여성 등 잠재인력 노동시장 유입책 필요"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경제활동인구가 2022년부터 2032년까지 31만6000명 증가하지만 10년간(2012~2022년) 증가 폭의 10분의 1수준으로 줄어 2028년부터 인력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2032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전망에선 2032년까지의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공급(경제활동인구)과 수요(취업자)를 예측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필요 인력을 처음으로 다뤘다.

    분석 결과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자는 모두 2028년을 기점으로 감소가 예상됐다.

    고용정보원은 15세 이상의 경제활동인구가 2022~2032년까지 31만6000명이 증가하지만 2028년을 기점으로 감소할 것으로 봤다. 2022~2027년까지는 56만4000명 증가하나 2027~2032년에는 24만8000명이 감소할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 기준 앞뒤 10년 단위로 경제활동인구 증감을 보면 2012년부터 2022년까지는 314만1000명이 증가했지만 이후 2032년까진 10분의 1수준인 31만6000명으로 떨어진다.

    고령화에 따른 노동인력 공급도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15~64세의 경제활동인구의 경우 2022~2032년까지 170만3000명이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은 201만9000명이 증가해 전체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의 18.4%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경제활동참가율의 경우 2025년까지는 상승하나 2026년을 기점으로 2032년까지 0.85%p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정보원은 "여성·베이비부머 노동시장 참여 등으로 2025년까지는 (경제활동참가율이) 상승하겠으나 70세 이상 인구 구성비 증가 등으로 2026년부터 하락한다"고 밝혔다.

    취업자의 경우 2022~2032년까지 30만9000명 증가하지만 2028년에 감소할 것으로 봤다. 2022~2027년까지는 70만명이 늘지만 이후 32년까지는 39만1000명이 감소한다.

    2022년 기준 앞뒤 10년 단위로 취업자 증감을 보면 2012~2022년의 경우 취업자는 313만4000명이 증가하지만 이후 2032년까지 10분의 1수준이 30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2022년 62.1%에서 2032년 61.3%로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2032년까지 기준으로, 서비스업의 경우 66만9000명의 취업자 증가가 예상되며, 제조업(-14만5000명)·건설업(-12만6000명)·농림어업(-9만4000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고령화, 돌봄 및 의료 수요의 증가로 보건복지업에서만 99만8000명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 됐다. 반면 도소매업의 경우 온라인화로 인력 수요가 40만7000명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보면 고숙련의 전문가가 52만2000명, 서비스직이 50만2000명으로 증가하고 온라인화와 자동화로 인해 판매직은 32만2000명, 장치·기계조작은 18만6000명, 기능원은 11만1000명 등의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정보원은 2027년 추가 필요인력은 7만1000명이나 2032년에는 89만4000명까지 늘 것으로 판단했다. 10년 간 연 평균 8만9000명이 필요한 셈이다. 추가 필요인력이란 향후 성장 전망치(1.9%~2%)를 달성하기 위한 인력 외에 추가로 필요한 인력을 뜻하며 2032년 기준 노동수요 기반 취업자수(2929만1000명)에서 노동공급 제약 고려 취업자수(2839만8000명)을 뺀 수치다.

    추가 필요인력 중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13만8000명으로 수요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제조업(13만7000명), 도소매업(11만8000명) 순으로 많았다.

    직업별로는 고숙련과 저숙련 노동자 모두 필요했다.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에서 20만2000명이 필요했으며 사무종사자가 15만2000명이 필요했다. 단순노무종사자는 12만6000명, 서비스종사자 11만9000명이 필요했다.

    고용정보원은 "향후 궁급 제약이 없다면 전문직·서비스직의 고용(수요) 증가폭은 더욱 확대될 수 있으며, 생산직·판매직 고용 감소는 완화되고 사무직은 증가로 전환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고용정보원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노동력 부족 현상이 현실이 될 수 있다면서 잠재인력(청년·여성·고령자)이 노동시장에 유입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고령자의 경우 원하는 만큼 더 오래 일 할 수 있도록 임금체계를 개편하고, '계속고용' 기반을 조성하거나 직무전환 훈련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인력 공급과 수요 감소에 따라 향후 공급 감소에 대응하고 성장 전망치 달성을 위해 필요한 89만4000명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