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미래의 거대트렌드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 세미나 인구성장률 1% 감소시 GDP 0.8%↓… 자금흐름 안전자산으로 이동기술 발전으로 금융 지형 변화… 망분리 완화‧부수업무 확대 해야
-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고령화 세대의 자금은 주식시장에서 예금이나 국‧공채 등 안전자산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특히 독거노인 등 1인가구가 늘어나면서 개개인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금융상품과 노후자금 확보를 위한 자산처분 자문 서비스가 발달할 것이란 예상이다.한국금융연구원은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미래의 거대트렌드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라는 주제로 이 같은 내용의 세미나를 개최했다.이번 세미나는 인구구조변화와 기후위기, 기술발전에 따라 향후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베이비붐 세대 고령화로 주식 자금→ 예금‧국공채에 몰릴 것서정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구변화가 금융부문에 미치는 영향’ 발표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 진전으로 주식시장 자금이 유출돼 현금, 예금, 국공채 등 안전자산으로 이동할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기업생산성 증가가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고령화에 따른 위험자산회피, 노동공급 감소로 인해 주식시장 이탈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부동산 시장 영향에 대해서는 “중장기적으로 가구수 증감, 주택 유동화 수요 증대(자산 축소), 인구이동 등에 대한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금융시스템 안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은행의 경우 고령화와 저금리 기조로 자금조달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자수익 기반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했다.서 연구위원은 보험업에 대응방안에 대해서는 “인구감소로 인한 보험수요 축소, 장수리스크 증대, 판매채널 변화 등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어 “저출생 완화를 위해 가계의 자산형성 지원과 주거안정에 정책의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며 “고령층의 어려움 완화를 위해 안정적인 노후자금 마련, 의료‧요양‧상속 등 고령층의 니즈와 금융서비스 간 연계성 강화, 고령층의 금융접근성 제고에 초점을 맞추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부연했다.글로벌 컨설팅사인 맥킨지앤드컴퍼니의 박중호 파트너는 “맥킨지 분석 결과 인구성장률이 1% 감소하면 GDP(국내총생산)성장률이 0.8% 감소한다”면서 “미래 인구 구성은 고령화, 1인 가구, 부의 이전 가속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노후자금 확보를 위한 자산처분 자문과 개개인 맞춤형 금융상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끓어오르는 지구, 저탄소 전환 돕는 전환금융 필요기후위기의 심화로 지구는 온난화를 넘어 이미 끓어오르고 있고 기후위기 대응은 시급한 과제다.딜로이트 경제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지구 기온이 3도 오르는 기후변화가 가져올 뉴노멀에 따른 전세계적 경제적 손실은 2070년까지 178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이중 아시아 지역의 경제적 손실이 96조 달러로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 손실의 규모와 영향은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됐다.딜로이트 경제연구소는 경제적 손실을 효익으로 전환하기 위한 아시아 지역의 터닝 포인트는 2020년대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옥수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파트너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탄소감축을 위한 녹색‧전환 활동에 자금을 지원하고, 탄소배출 활동 대상 자금 공급을 축소‧중단하는 것이 금융의 역할”이라며 “특히 그린워싱 이슈로 인해 금융 지원의 사각지대에 있는 전환활동 관련 기준 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금융권의 대응 방안 중 하나로 저탄소 경제구조로 연착륙을 돕기 위한 전환금융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돕는 지수형 날씨보험이 소개됐다.이옥수 파트너는 “주요국 대비 제조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는 탄소집약적 산업의 저탄소 전환이 중요한 과제로 이를 돕는 전환금융이 필요하다”면서 “지수형 날씨보험은 탄소중립에 꼭 필요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가로막는 날씨 변화에 따른 수입의 변동성을 보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술 혁신 효과… 이종산업 융합, 무형자산 투자‧중개 확대생성형 AI(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기술혁신 가속화로 금융산업의 다양한 지형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왔다.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초지능화된 가계의 영향력과 혁신산업 출현 가속화로 모험자본 공급을 담당하는 자본시장 역할이 확대되며 타 산업과 융합을 통한 언번들링(Unbundling) 혁신 서비스가 증가할 것”이라며 “비금융데이터 활용 증가와 무형자산 투자‧중개도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반면 기술혁신 가속화로 개인정보 노출, 거짓 정보 생성, 시스템리스크 잠재위험, 금융소비자 피해 위험, 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이효섭 실장은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금융사의 디지털 혁신을 유도하고 핀테크 육성하는 한편 이용자보호와 금융안정 제고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금융사 망분리 규제 완화와 자회사 소유한도 완화, 부수업무 범위 확대가 필요하다”면서 “ICT(정보통신기술) 인력과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이종산업 간 데이터 결합·활용을 촉진하고, 스몰 라이센스 제도와 규제 샌드박스 활성화를 추진하는 한편 가상자산과 빅테크 규율체계 정립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