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개 저축은행 PF대출 잔액 5조원 웃돌아非수도권 부동산 경기 하락에 긴장감 고조 대출규모 매년 증가'저축은행 사태' 우려↑
  • ▲ 저축은행 부동산PF대출 잔액 현황.ⓒ금융감독원
    ▲ 저축은행 부동산PF대출 잔액 현황.ⓒ금융감독원

    저축은행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잔액이 2011년 이후 처음으로 5조원을 넘어섰다. PF대출로 촉발된 대규모 저축은행 부실사태가 일단락 된 2014년 이후 매년 가파르게 늘고 있는 것이다. 저축은행업계의 부동산 PF대출 규모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저축은행 부실 사태가 재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0일 민주평화당 장병완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74개 저축은행의 작년 12월 말 부동산 PF대출 잔액은 5조196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저축은행업계 영업정지 사태 발생 직후인 2011년 당시 PF대출 규모(4조3741억원)를 뛰어넘는 수치다.

    저축은행업계의 부동산 PF대출은 2015년 2조원대에서 2016년 3조4242억원, 2017년 4조2318억원으로 매년 1조원 씩 늘었다.

    작년 대출 규모로 보면 OK저축은행이 4314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한국투자저축은행(3624억원), 모아저축은행(2641억원), 상상인저축은행(2452억원), 대신저축은행(2249억원) 순이다.

    PF대출 규모가 가장 많은 OK저축은행은 대출 증가세가 가파르다. 2016년 말 1531억원이던 대출 잔액은 2년 새 2.8배 증가했다. 한국투자저축은행은 2016년 2630억원에서 2017년 4034억원으로 늘었다가 지난해 소폭 줄었다.

    PF대출은 부동산 프로젝트를 담보로 장기간 대출을 해주는 것으로 부동산 시장이 호황일 땐 문제가 되지 않지만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 부실의 위험 부담이 커지게 된다.

    과거 저축은행 사태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무분별하게 부동산 PF에 투자하다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부실채권을 회수하지 못해서였다. 부동산 경기침체에 민감한 PF대출의 무분별한 취급은 위험 부담이 크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금융사 한 관계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부동산 경기가 급격히 침체되면서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가 발생했다"며 "부동산 경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시장 침체시엔 대출이 부실화 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예금보험공사와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사태 이후 신용공여한도제 등 부동산 PF대출 관련 규제를 강화한 만큼 대규모 부실로 이어질 확률은 낮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국내 부동산 경기가 침체기로 접어든 상황에서 PF 대출 잔액이 쌓이고 있는 것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확산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2019년 저축은행 전망·평가' 보고서에서 "과거 부실화된 부동산 및 주택담보대출 등 기존 업무영역을 재확대하고 있어 향후 저축은행의 자산건전성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부동산 경기에 대해서는 "2013년 이후 개선되던 국내 부동산 경기는 2017년 이후 하락 징후를 나타내고 있으며 수도권에 비해 수요 기반이 취약한 지방을 중심으로 경기 하강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부동산 경기 하락세가 본격화할 경우 늘어난 PF 대출 규모가 저축은행 부실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2011년 이후 저축은행 PF 대출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한 상태"라며 "현재 부실 징조는 없지만 부동산 경기에 따라 상황이 변할 수 있어 부동산 PF 대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