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계양·부천대장·성남 등 5곳서 시범사업사전요금지불시스템은 세종만… 그나마 내년 이후 도입정류장만 번지르르하게… 전문가 "고비용·저효율 우려"
  • ▲ 세종시BRT(왼쪽)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BRT.ⓒ국토부
    ▲ 세종시BRT(왼쪽)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BRT.ⓒ국토부
    국토교통부가 신개념의 최고급형 간선급행버스체계(슈퍼(S)-BRT) 도입을 본격화하기로 하고 전국에 5개 시범사업 노선을 선정했다. 그러나 S-BRT가 기존 BRT 체계의 고급형 모델을 달리 부르는 수준에 그치고, 시범사업 대부분이 핵심 요소인 사전요금지불 시스템 없이 추진될 것으로 보여 말잔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S-BRT를 도입하기로 하고 5개 노선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BRT는 전용 도로와 우선신호체계를 도입해 '땅 위의 지하철'로 불리는 교통시스템이다.

    시범사업별 사업추진계획을 보면 인천계양·부천대장 BRT(김포공항역~박촌역~부천종합운동장역·17.3㎞)는 3기 신도시 계양·대장지구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9호선 등 인근 지하철 주요 역과 연결한다. 출퇴근 시간 단축이 기대된다.

    창원 BRT(창원시 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9.3㎞)는 주요 간선도로에 개발계획을 수립 중이다.

    인천 BRT(인하대~서인천·9.4㎞)는 광역 BRT로 추진된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과 연계하고 기존 운영 중인 청라~강서 BRT와 연결해 인천~서울을 잇는 광역교통망으로 개발한다.

    성남 BRT(남한산성입구~모란역사거리·5.2㎞)는 구도심 주요 도로인 산성대로의 버스체계를 개선하게 된다. 분당선·8호선 등 지하철, 성남대로와 연결된다.

    운영 중인 세종 BRT(반곡동~세종터미널~한별리·22.9㎞)는 업그레이드를 통해 S-BRT 모델을 구축한다. 정류장 냉·난방시설과 와이파이 설치는 물론 전기·굴절버스와 우선신호시스템, 사전요금시스템 도입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올해 광역교통개선대책 등 상위계획 반영과 기본계획 수립 등을 추진해 시범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박진홍 대광위 간선급행버스체계과장은 "S-BRT는 지하철과 비교할 때 건설기간은 절반 수준으로 짧고 비용은 10분 1 수준으로 적게 투입하면서도 지하철에 맞먹는 서비스가 가능한 저비용·고효율의 대중교통수단이 될 것"이라며 "관계기관과 설계단계부터 긴밀히 협력해 고품질의 S-BRT가 건설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S-BRT 도입을 위한 표준지침도 마련했다. 일반도로와 분리된 전용도로, 입체 교차로나 우선신호, 추월차선을 활용해 지하철처럼 정류장에서만 차량이 멈추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도로가 막혀도 정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정류장도 개선한다. 눈과 비, 미세먼지 등을 피할 수 있게 폐쇄형 또는 반개방형 정류장을 설치한다. 수평 승하차가 이뤄지도록 설계해 승하차 시간을 줄이고 교통약자 편의성도 높인다. 사전요금지불시스템을 도입하고 냉·난방 시설과 와이파이, 버스 위치정보 표시서비스 등도 설치한다.

    차량은 수소·전기버스 등 친환경 차량을 우선 운행한다. 이용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에는 굴절버스 등 대용량 차량을 투입한다.

    지하철 등 연계 교통수단까지 환승거리를 최소화하고 급행버스 서비스도 도입한다.

    국토부는 표준지침을 따르면 S-BRT가 BRT 국제기준의 최고등급인 '골드' 수준까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 ▲ 세종시 신개념 BRT 정류장 개념도.ⓒ국토부
    ▲ 세종시 신개념 BRT 정류장 개념도.ⓒ국토부

    일각에선 S-BRT 도입이 국토부의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국토부 설명대로 BRT 체계에는 이미 S-BRT에 해당하는 골드등급 BRT가 있다. 애초 낮은 수준의 BRT를 도입하고 고비용·저효율이란 지적을 사자 뒤늦게 업그레이드하겠다며 설레발을 떤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S-BRT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도 아니다.

    시범사업도 빛 좋은 개살구에 그칠 공산이 커 보인다. 정시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사전요금지불 시스템의 경우 5개 시범사업 노선 중 세종시에만 우선 적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나마 세종과 인접 지역 간 버스요금 정산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아 구체적인 논의는 본격화하지 않은 상태다. 국토부는 내년 이후에나 시범 도입이 이뤄질 거라는 설명이다.

    나머지 4개 시범노선은 기본적인 사전요금지불 시스템 없이 정류장 시설만 고급화해 서비스가 이뤄질 전망이다. 지금과 별반 차이 없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수준의 BRT 서비스에 머물 것으로 우려되는 대목이다.

  • ▲ 국토부.ⓒ뉴데일리DB
    ▲ 국토부.ⓒ뉴데일리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