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C·LCC 너나 없이 '고난의 행군'LCC 국제선 96% 축소… 3개사 전면 중단"항공업 대공황"… 코로나 이후 회복 시점도 가물
  • ▲ 텅 빈 공항 ⓒ 연합뉴스
    ▲ 텅 빈 공항 ⓒ 연합뉴스

    항공업계가 코로나19 여파로 신음하고 있다. 각국의 한국인 입국금지와 국내외 여객감소로 전 노선이 마비 상태다. 업계는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 모두 위기를 쉽사리 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낸다.

    17일 현재 항공업계(FSC·LCC 합산)의 국제선 중단·감편율은 약 89%로 집계됐다. 아시아권에 한정됐던 코로나19가 유럽·미국까지 번져 사실상 전 노선이 멈춰선 상황이다.

    국내선 감편·중단율은 9.8%로 나타났다. 사실상 국제선 운항을 모두 멈춘 LCC의 제주노선 의존도가 높아져서다. 이스타항공과 에어부산·서울 등 3개 사는 국제선 운항을 전면 중단하고 1~3개의 제주 노선 전반을 유지 중이다. 

    대한항공·아시아나 등 국적 FSC 두 곳을 기준으로한 국제선 감편·중단은 69%로 나타났다. 대한항공은 124개 노선의 71%에 해당하는 89개를 멈추거나 줄였다. 아시아나는 75개 전체 노선 중 51개(68%)를 축소했다.

    국내선도 평균 60%가량 줄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대구·경북과 제주행 여객 수요 감소 때문이다. 대한항공은 전체 국내선 13개 중 10개(76%)를 중단하거나 줄인 것으로 집계됐다. 아시아나도 국내선 11개 중 5개(45%)를 멈추거나 축소했다.

  • ▲ 항공업계 코로나19 관련 감편·중단 현황 (20년 3월 16일 기준) ⓒ 김수정 그래픽기자
    ▲ 항공업계 코로나19 관련 감편·중단 현황 (20년 3월 16일 기준) ⓒ 김수정 그래픽기자

    저비용항공사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LCC의 국제선 평균 감편·중단율은 무려 96%에 달했다. 일본·중국 등 동북아 단거리 노선과 동남아에 특화된 LCC는 일본과의 외교갈등 등 지난해 하반기부터 발생한 모든 리스크에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제주항공의 경우 전체 국제선 70개(동절기 운항) 중 91%를 차지하는 64개를 중단·감축했다. 진에어는 전체 31개 중 90% 가량인 28개를 줄이거나 중단했다. 티웨이항공도 48개 노선 중 47개를 줄인 상황으로 감편·중단률이 97%에 달했다.

    이스타항공(국제선 33~34개 보유), 에어부산(30개), 에어서울(14개)은 국제선 운항을 모두 중단했다. 이들은 당분간 제주행 국내선 1~3개만을 운항하며 버티기로 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도 당분간은 제주행 국내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현재 LCC 6개사의 국내선 감편률은 약 19%로, 제주행을 중심으로 노선 대부분을 유지하고 있다.

    LCC 업계 관계자는 “중국·일본 동북아 노선과 동남아 여행지에 특화된 LCC의 경우 지난해 일본 불매운동부터 큰 위기를 겪어왔다”면서 “노 재팬 여파가 가시기도 전에 중국 노선이 모두 끊겼고, 당시 대체 노선으로 띄우려 했던 일본은 당국의 입국금지 조치로 다시 막혀버렸다”고 토로했다.

    이어 “동남아는 여행·휴식 목적의 발권이 많아 감염병·경제위축 등 각종 리스크의 초기부터 민감하게 반응하며, 최근엔 베트남 입국금지 등으로 아예 손을 쓸 수 조차 없다”며 “위기가 지속될 경우 현재 운영 중인 LCC는 물론, 이제 막 시장에 진입한 소규모 업체들이 그대로 쓰러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는 이번 사태가 앞선 감염병 사례보다 길게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 2015년 5월 발병한 메르스는 3~4개월간 항공업계에 후유증을 줬다. 코로나19의 경우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해 12월 이후 현재까지 확산세가 계속돼 예측조차 어렵다는 분위기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여러 악재가 겹쳐 정상화 시기조차 가늠할 수 없으며, 현 상황은 그야말로 ‘항공업 대공황’ 시기”라며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일본과의 외교 갈등, 세계 경제 위축과 같은 업계 리스크가 남아있어 완벽한 수요 회복까진 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