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직후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등 그린뉴딜 '박차'전기차 배터리 등 친환경-신재생 에너지업계 '화색'친환경 확산… 정유업계, 수요-공급 동반 위축 '우려'
  •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취임하자마자 파리기후협약 재가입을 조치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이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앞선 대선 공약의 가시화로 전기차 배터리업체 등 친환경·신재생 에너지 업계에서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연방정보 소유 부지 내의 신규 석유·가스 시추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부 차원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환경 친화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새로운 위원회와 직책도 만들 전망이다.

    이를 통해 친환경 대체 에너지 수요가 30% 정도 늘 것으로 기대되며 그린뉴딜 정책을 통한 일자리 100만개 창출 효과와도 시너지를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첫날 지구온난화 대책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탈퇴했던 파리기후변화 협약에 재가입하고 100일 안에 세계 지도자들이 참석하는 정상회의를 소집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어 25일(현지시간) 발표한 행정명령에는 연방정부가 소유한 관용차량을 전기차로 바꾸겠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방정부가 소유한 엄청난 양의 자동차를 미국 내 공장에서 미국 근로자들이 만든 깨끗한 전기차로 대체할 것"이라며 "향후 소비자들이 기존 가솔린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할 경우 보조금이나 판매 장려금을 지급하는 방안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 공약들이 가시화하면서 국내 친환경·재생에너지 업계에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당시 바이든 대통령은 친환경 정책을 트럼프 대통령과의 차별화 요소로 내세웠다.

    집권하면 4년간 2조달러를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그린뉴딜 투자에 쏟기로 했다. △파리기후변화 협약 재가입 △관용차 300만대 전기차 교체를 비롯해 △태양광·수소·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전력 부문 탄소배출 2035년 제로 달성 △전기차 충전소 5만개 확충 등을 공약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 진출한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미국 공장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공장은 일본의 파나소닉, 중국 AESC와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등 네 곳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차 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배터리 기업은 사실상 한국 기업 밖에 없다. 배터리 사업은 투자 단위가 최소 1조원 이상의 대규모 자본력과 기술력이 필요한 만큼 미국에 진출할 수 있는 기업이 제한적이다.

    AESC 등 중국 배터리 업체의 경우 미중 무역 분쟁 여파로 미국에 투자하는 것이 쉽지 않고, 파나소닉은 공장 증설에 보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특히 관용차량의 전기차 전환 계획에서 전기차는 물론, 전기차 내부 부품 역시 50% 이상 미국에서 생산된 차량만 구매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LG와 SK의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된다.

    배터리업계 한 관계자는 "바이든 행정부가 친환경차 전환을 위해 지원하는 보조금은 미국산 자동차에 더 큰 혜택을 줄 가능성이 높다"며 "GM과 합작사를 설립 중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공장 가동에 따라 전기차 시장 진입의 성패가 달려있는 포드의 상황을 고려하면 K배터리의 입지가 미국에서 더욱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 ▲ 미국 조지아주 SK이노베이션 제1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 ⓒSK이노베이션
    ▲ 미국 조지아주 SK이노베이션 제1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 ⓒSK이노베이션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업계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은 우리나라 태양광 시장의 가장 큰 수출처다. 전체 수출금액 중 90%가 미국에서 나올 정도다. 미국에서 태양광 에너지 도입을 확대하기로 하면서 태양광 사업을 실시하는 국내 기업들도 성장 기회를 맞게 됐다.

    한화큐셀과 LG전자 등이 미국 태양광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솔루션 부문 한화큐셀은 지난해 3분기 기준 미국 주거용과 상업용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김선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은 "국내 풍력과 태양광 시장에 중장기적인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며 "이미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 분야는 산업 전체 규모가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이에 반해 정유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친환경, 그린에너지 정책이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석유 생산 제한으로 국제유가는 오히려 상승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유가 상승이 정유업계의 판매가격 상승과 재고이익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지만, 지금처럼 석유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지 않는 상황에서의 유가 상승은 독이 될 수도 있다. 원가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정유업계 한 관계자는 "친환경 사업으로의 전환은 이미 글로벌 트렌드다. 바이든 대통령의 정책이 그 속도를 비약적으로 앞당긴 것"이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소 늦췄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발 빠르게 추진되면서 정유산업은 공급과 수요가 모두 줄어드는 불리한 시장 환경에 놓일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