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스팸 상반기 대비 다소 감소
  • ▲ ⓒ방통위
    ▲ ⓒ방통위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는 2021년 하반기(7월1일∼12월 31일) 휴대전화 음성과 문자, 이메일 스팸 신고·탐지 건, 수신량, 차단율 등을 조사한 '2021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31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전체 휴대전화와 이메일 스팸 신고·탐지 건은 총 2831만 건으로 전기 3455만건 대비 18.1% 감소했다. 또한 이용자 3000명을 대상으로 한 휴대전화와 이메일 스팸 수신량 조사 결과 일평균 스팸 수신량은 0.42건(약 5일에 2통 수신)으로 상반기 대비 0.03건 줄었다.

    이통3사의 지능형 스팸차단 서비스(무료)에 대한 차단율은 96.2%로 상반기 대비 0.4%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휴대전화 스팸 신고·탐지 결과를 살펴보면 총 1816만건으로 2021년 상반기 대비 7.6%(150만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휴대전화 음성스팸은 1182만건으로 상반기 대비 6.2%(77만건)줄었다. 광고 유형별로는 불법대출(78.3%), 성인(14.6%), 금융(2.0%), 도박(1.5%) 순이었으며, 발송 경로별로는 유선전화(50.7%), 인터넷전화(34.2%), 휴대전화(12.4%),국제전화(2.7%) 순이었다.

    휴대전화 문자스팸 신고·탐지 건은 총 634만건으로 상반기 대비 10.3%(73만건) 감소했다. 광고 유형별로는 도박(40.8%), 금융(19.7%), 불법대출(19.4%), 성인(8.3%)이 주를 이뤘다. 전송 경로별로 살펴보면 대량문자발송서비스(94.1%)를 통해 가장 많이 발송됐으며 그 뒤로 휴대전화(4.4%), 기타(1.5%) 방식 등을 통해 이뤄졌다.

    2021년 하반기 이메일 스팸은 총 1015만건(국내발 : 18만건, 국외발 997만건) 신고·탐지됐으며 이는 상반기 대비 31.8%(474만건) 감소한 수치이다. 해외에서 유입된 스팸의 발신국을 살펴보면 중국(73.6%)이 가장 많았고 미국(3.9%), 브라질(2.4%) 순이었다.

    스팸 수신량 조사는 전국의 휴대전화, 이메일 사용자 3000명(12∼69세)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16일부터 22일까지 7일간 휴대전화와 이메일 스팸 수신량을 조사한 결과다.

    2021년 하반기 휴대전화 이용자의 하루 평균 스팸 수신량은 총 0.29통으로 음성이 0.11통, 문자가 0.18통인 것으로 조사됐다. 2021년 상반기와 비교해보면 음성 스팸은 동일하고 문자 스팸은 0.06통 감소해 합산수치는 2021년 하반기가 상반기에 비해 0.06통 줄었다. 같은 기간 이메일 스팸 수신량은 하루 평균 0.13통으로 상반기 대비 0.03통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통사의 문자스팸 차단율 조사는 이통3사가 무료로 제공 중인 ‘지능형 스팸차단 서비스’의 문자스팸 차단율을 측정하는 것으로 2021년 하반기 차단율은 평균 96.2%로 나타났다. 이는 상반기 대비 0.4%p 상승한 수치다. 최근 5년치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84.2%에서 96.2%까지 꾸준히 향상돼 왔다.

    한상혁 위원장은 “방통위는 앞으로도 휴대전화 음성, 문자 스팸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이를 위해 KISA 스팸대응시스템 고도화, 통신사 현장점검 강화, '은행사칭 불법스팸 유통방지 대책' 이행 등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