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기지국과 스마트폰 사이 오가는 신호 통해 데이터 축적SKT는 통계청-질병관리청, KT는 서울시, LGU+는 문화정보원과 협력해 기지국 신호 빅데이터 활용개인정보 담겨 있는 데이터, 정부 협력 외 자체적인 사업 전개 어려워
  • 이동통신3사의 기지국 신호 빅데이터가 재난 대응의 키워드로 급부상한 가운데, 개인정보 활용 우려에 대한 인식 해소가 선결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발생한 이태원 사고를 계기로 이통3사의 기지국 신호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응 체계 구축을 논의 중이다.

    이통3사의 기지국 신호 빅데이터는 기지국과 개인이 이용하는 스마트폰이 주고받는 신호를 통해 축적된다. 기지국과 스마트폰이 1~2초 간격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시그널 정보가 오고 가며, 이를 활용하면 특정 시점에 실시간으로 셀 안에 들어 있는 단말의 수(유동인구 수)를 파악할 수 있다. 해당 시그널 정보에는 각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가 포함돼 있다.

    이를 활용해 이통3사는 정부 기관과 협업을 이어오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7월 거주·이동·체류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플랫폼 ‘지오비전 퍼즐’을 공개했다. 기지국 기반의 위치 데이터를 활용한 특정 지역 유동인구, 장소 혼잡도, 주거 생활 분석 정보 등을 제공하는 ‘데이터 카탈로그’를 구성했다.

    SK텔레콤은 공공기관이나 기업들이 해당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형태로 가공해 공유한다. 현재는 통계청과 질병관리청, 행정안전부 등에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KT는 휴대폰 기지국 신호 빅데이터를 활용해 주요 지역(POI·Point of Interest)의 실시간 존재 인구수를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인구 데이터’를 서울시에 제공하고 있다. 해당 데이터는 주요 지역 기지국에서 5분 동안 수집된 휴대폰 신호 빅데이터를 집계하고 가공해 현시점에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인구를 추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LG유플러스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문화정보원에 정보를 제공한다. 다만, LG유플러스가 제공 중인 데이터는 실시간이 아닌 비실시간이다. 특정 기간에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해서 제공하고 있다.

    정부는 이통3사의 기지국 신호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응 체계 마련을 고민 중이다. 실시간으로 인구 예측이 가능한 만큼,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중교통 배차 간격 ▲코로나 방역 관리 ▲사람이 많이 몰리는 곳 위주로 순찰차 배치 등의 활용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재난 대응 체계 마련은 서울시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전국 단위에서 대책회의 등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서울시는 서울시대로 국가는 국가 단위대로 내부에서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통3사의 기지국 신호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해소될 필요가 있다. 지난 2020년 7월에는 정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목적으로 개인의 휴대폰 기지국 접속 정보를 수집한 것에 대한 헌법소원이 제기되기도 했다.

    실제로 이통3사는 해당 데이터를 활용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지만, 개인정보 침해 우려로 인해 아직까지 제대로 된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정부기관과 협력을 시도하면서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는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개인정보 침해 우려에 대한 인식이 먼저 해소돼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가 얽혀 있는 만큼, 정보 활용에 대한 규제도 상당한 상황”이라며 “공공기관의 데이터 활용 목적과 어느 정보까지 활용하는지 여부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이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