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과기정통부, 첫 ‘한의학+첨단과학’ 접목 추진동의보감 발간 410년… 신성장동력 사업으로 육성과학화·산업화·세계화 달성 목표
  • ▲ 한의 디지털융합기술 개발사업 주요내용. ⓒ보건복지부
    ▲ 한의 디지털융합기술 개발사업 주요내용. ⓒ보건복지부
    범정부 차원서 그간 미흡했던 한의학 연구개발에 첨단과학을 결합해 난치질환 극복의 해법을 모색한다. 지난 2020년 기준으로 한의학 국가 R&D 투자는 1206억원으로 정부 전체 연구개발 투자 23.8조원의 0.5%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보건복지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의 기술과 디지털 등 첨단과학을 융합하여 만성질환 등 난치성 질환에 대한 해법을 공동 모색하기 위해 ‘한의 디지털 융합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착수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사업은 한의학의 혁신을 꾀하는 정부 주도의 첫 사례다. 

    기초‧원천 핵심기술 개발부터 응용‧임상연구까지 전주기 연구수행을 위해 오는 2027년까지 5년간 총괄과제 1개 및 개별과제 34개 등 35개 과제에 대해 총 44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기반으로 난치질환을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하겠다는 목표다. 

    먼저 총괄과제는 ‘융합한의학 연구개발 플랫폼 체계 구축(46.3억원)’으로 정해졌다. 

    기초‧원천연구 및 응용‧임상연구 분야에서 수행되는 34개 개별 연구과제의 성과가 극대화되도록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또 융합한의학 연구 데이터를 수집해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K-BDS)등을 통해 공유‧활용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기초‧원천기술 분야(8개, 180억원)는 한의학 기초이론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창출된 데이터를 축적하는 ‘융합한의학 기초기술개발(4개 과제)’과 한의기술과 새로운 융합 한약‧의료기기의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융합한의학 원천기술개발(4개 과제)’ 과제로 구성됐다. 

    응용‧임상연구 분야(26개, 213.8억원)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및 디지털 치료제 등을 개발하는 ‘한의약 바이오디지털 융합헬스케어 기술개발(15개 과제)’과 한약 유효성·안전성 평가 신기술 등을 개발하는 ‘한약 안전 사용 플랫폼 및 융합기술개발(11개 과제)’ 과제로 구성됐다. 

    강민규 복지부 한의약정책관은 “한의가 미래 의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첨단과학기술과 융합을 통해 과학화·산업화·세계화를 달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부처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성과 있는 연구가 되도록 관리하겠다”라고 밝혔다.

    특히 “한의학을 집대성한 동의보감 발간이 410년 되는 올해부터 한의학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늘려 한의약이 국민들에게 선택받는 서비스이자 국가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총괄과제 및 세부 분야별 연구과제 중 일부(26개, 응용‧임상분야)는 오는 18일 1차 공고 예정이며, 나머지 8개 과제(기초‧원천기술 분야)는 사업추진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공고가 진행될 예정이다.

    자세한 공고 내용은 과기정통부(www.msit.go.kr), 보건복지부(www.mohw.go.kr), 한국연구재단(www.nrf.re.kr) 및 보건의료연구개발포탈(www.htdream.kr)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