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토론회서 가정의학과 의사들 '통합적 관리' 중요도 강조진료과별 분절적 의료체계 '한계 봉착'과도한 다약제 복용은 독(毒)… 사망위험 키우는 꼴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두고 ‘노인주치의제’ 도입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여러 질환을 동시에 앓고 있는 고령자의 경우 약물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망률이 올라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어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선결과제로 꼽힌다. 

    선우성 대한가정의학회 이사장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노인주치의제 도입’ 토론회에서 “국내 65세 이상의 노인 중 만성질환 보유자의 비율은 82.2%이며 이 중 60%는 복합만성질환을 앓고 있는데, 다제약물 관리가 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고령층이 앓고 있는 여러 질환의 통합적 특성을 이해하고 노화와 질병에 의한 신체 및 인지기능 상태를 고려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라며 “이는 노인주치의 제도가 도입돼야 할 이유”라고 설명했다. 

    김성환·신현영·이용빈·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하고 가정의학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한 이번 토론회에서는 약물관리 중심의 노인주치의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료계의 의견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이날 발제에 나선 김정하 중앙대의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국내 데이터 분석 시 과도한 다약제(10개 이상) 복용자 사망위험은 2.79배가 늘어났다”며 “특히 고령층은 노화에 의한 생리적 기능 저하로 약물 흡수·분포·대사· 배설이 변화되어 약물의 약동학적 과정이 젊은 성인과는 큰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약물 위해로 응급실에 방문한 노인환자를 분석한 결과, ‘부적절한 약물 선택 및 중복’이 4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예방이 가능한 영역이었다는 지적이다. 

    그는 “복합만성질환 관리와 다제약물 복용 감소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각 과별로 진료를 받아야 하는 분절적 의료체계 내에서는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동네의원이 노인주치의로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1차, 2차, 3차 의료기관들이 각자의 수준에 적합한 진료를 하는 경우 ‘이익이 남는 보수지불’을, 그렇지않은 경우 ‘손해보는 보수지불’이 되도록 노인주치의제를 도입하되 의료기관 종별 차등보상제를 개발·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