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가계대출 두달새 7조원 감소기업대출도 주춤, 고금리‧경기침체 우려부동산 경기 부진, 대출 부실 위험 커져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지난해 역대급 실적으로 호황을 누린 은행권이 올해 들어 두달째 대출 성장세가 정체되는 등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대출자들의 금리 부담 등 대출부실 리스크가 현실화하는 모양새다. 

    코로나와 경기불황으로 인한 금융지원까지 종료되면 은행 실적에 효자 역할을 한 기업대출로 부실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올해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가능성까지 커지면서 은행의 핵심이익인 순이자마진(NIM)도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2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685조4506억원으로 1월(688조6478억원)보다 3조1972억원 줄었다. 이들 은행의 지난 1월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3조8857억원 감소해 두 달 연속 감소세다. 

    세부적으로 개인신용대출이 지난 1월 115조6247억원에서 2월 113조4865억원으로 2조1382억원 줄었다. 

    주택담보대출 역시 5720억원(513조3577억원→512조7857억원) 축소됐다. 5대 은행 주택담보대출이 전월보다 적은 것은 지난해 7월(-910억원) 이후 처음이다.

    전세자금대출도 130조4182억원에서 128조5152억원으로 1조9030억원 뒷걸음쳤다.

    반면 기업대출은 2월에도 3조3193억원(707조6043억원→710조9236억원) 늘었다. 그러나 전월 증가분(3조8773억원)에는 못미친다. 

    지난해 11월 기업대출이 6조원가량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기업대출 증가세도 한풀 꺾였다.

    작년 하반기 레고사태로 회사채 시장이 위축되면서 은행 돈을 빌리려는 기업들이 늘었지만 정부의 시장안정조치 등으로 자금시장이 점차 안정을 찾으면서 기업대출 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은행들은 가계대출의 역성장 속에서도 기업대출 중심 성장으로 역대급 이익을 거뒀다. 

    그러나 올해는 ‘연체율 상승’이라는 청구서가 날아들면서 부실위험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 

    이미 지난해 말 기준 4개(KB국민·신한·하나·우리)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에서 1개월 이상 상환이 미뤄지고 있는 연체액은 총 1조2489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33.3%(3120억원) 늘었다.

    코로나19로 지난 2020년 4월부터 이들 기업에 시행해온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조치가 해제되면 수면 아래 억눌려온 부실이 한꺼번에 터져 나올 수 있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날 ‘2023년 은행업 전망 및 리스크 이슈’ 보고서를 통해 빠르게 불어난 기업대출의 부실화를 우려했다. 

    서 연구위원은 “기업대출은 대기업대출 위주로 빠르게 증가했는데, 부실채권 중 기업여신이 80%를 웃도는데다 이자보상배율 1미만 중소기업 비중이 50%를 웃돌 것으로 판단돼 은행의 옥석가리기가 중요한 시점”이라며 “올해 국내 은행이 직면한 가장 큰 리스크는 건전성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감소세를 이어온 가계대출 역시 그 회복이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서 연구위원은 “GDP(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대출 비율이 100%를 넘어선 가운데 고금리 여파로 부동산 가격이 조정되면서 대출자 금리 부담이 누적되고 있어 한계 차주 위주의 연체율 증가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