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성과 배점 10→20점… 적자 에너지공기업들 불리한전, C→D등급 하락… 가스공사, C등급 유지 '희비'회계처리 방식 탓… 가스공사 '미수금'은 자산으로 인식2022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
  • ▲ 기획재정부 ⓒ연합뉴스
    ▲ 기획재정부 ⓒ연합뉴스
    지난해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며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들의 재무상태가 악화한 가운데 16일 발표된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서는 이들 기관의 희비가 엇갈렸다.

    한전은 지난해 32조6000억 원이라는 사상 최대의 적자를 기록했다.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가 이날 발표한 '2022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D등급(미흡)' 평가를 받았다. 2021년도 평가 'C등급(보통)'보다 한 단계 떨어졌다.

    반면 가스공사는 8조6000억 원의 미수금이 발생했는데도, 2021년도와 같은 'C등급'을 받으면서 의구심을 자아냈다.

    이번 경영평가는 재무성과 지표 배점이 기존 10점에서 20점으로 확대되면서 재무상태가 악화된 한전과 가스공사 모두 낮은 성적표를 받아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가스공사가 예상 밖에 선전한 것이다.

    이런 결과가 나온 배경은 한전과 가스공사의 회계처리 방식 차이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국제 에너지 가격이 크게 오르며 한전과 가스공사 모두 액화천연가스(LNG)를 들여오는데 많은 비용을 써야 했지만,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은 원가를 보전하지 못하면서 계속해서 적자가 쌓여갔다.

    한전은 전기를 팔수록 손해를 보는 부분을 '적자'로 처리했다. 가스공사는 이를 회계상 '미수금'으로 처리했다. 적자는 지출이 수입보다 많아서 생기는 손실액을 뜻하는 것으로, 한전의 적자는 고스란히 회계장부상 마이너스(-)로 기록된다. 

    하지만 미수금(未收金)의 의미는 한자 그대로 '아직 받지 못한 돈'이다. 가스를 팔고 회수하지 못했지만, 언젠가는 이를 회수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자산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수금이 늘어도 매출액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에서 좋은 성적표를 받을 수밖에 없다.
  • ▲ 한국가스공사 ⓒ연합뉴스
    ▲ 한국가스공사 ⓒ연합뉴스
    가스공사의 미수금은 지난 2020년 말 1941억 원이었다가 지난해 말 8조6000억 원으로 급증했음에도, 지난해 영업이익은 2조4634억 원으로 1년 전보다 99%, 당기순이익은 1조4970억 원으로 55.2% 늘어났다.

    가스공사가 이런 방식을 택한 이유는 '원료비 연동제' 때문이다. 원료비 연동제는 원가를 판매가격에 반영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는 두 달에 한 번씩 LNG 도입가격 등이 원료비 3% 내외로 변동이 있을 때 가스요금에 이를 반영해야 한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문재인 정부 들어 원료비 연동제가 중단됐었다.

    이후 산업용 도시가스에는 원료비 연동제가 다시 적용됐지만, 주택용(민수용)에는 아직까지 원료비 연동제를 적용하지 못하면서 가스공사의 미수금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한전으로선 억울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국제 에너지 가격이 올라 원가를 보전하지 못하는 것은 한전과 가스공사 모두 같은 상황인 데도, 경영평가 결과는 확연히 달라졌기 때문이다.

    가스공사는 단지 미수금 방식의 회계처리 때문에 경영평가에서 선전한 것은 아니라는 태도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미수금이 있긴 하지만, 평가지표들이 여러 개이다 보니 단지 (재무상황) 때문에 결과가 나쁘게 나오기는 어렵다고 본다"며 "자세한 것은 종합등급 말고 각 지표별 등급이 나와봐야 알 수 있지만, 우리도 아직 이를 받아보지 못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