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율 26%, 내년도 '54명'만 확보서울아산·서울성모·강동성심병원 충원 완료오픈런·중증환자 대응 미흡 등 의료공백 현실화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이 바닥을 치고 있다. 빅5 간판도 통하지 않았다.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은 정원을 채우지 못했고 세브란스병원은 지원자 0명이라는 오명을 썼다. 상황이 이러하니 지방은 전멸에 가까운 상황이 됐다. 
     
    저출산 시대에 기피 현상이 지속되면서 이른바 '소아과 오픈런(소아과 진료를 보기 위해 새벽부터 줄을 서는 현상)'을 비롯해 중증환자 대응 등 필수의료 공백도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소아청소년과 지원율은 26%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연속적으로 바닥을 찍은 상황이라 기피과의 한계가 극명해진 셈이다. 내년에 전국 수련병원에 투입될 소아과 전문의는 206명이어야 하지만 이 중 54명만 충원됐다. 
     
    빅5병원이라는 간판을 달아도 추락하는 소아과 상황에 대응하지 못했다. 소아과 명의를 다수 배출한 세브란스병원은 정원 10명 중 한명도 지원하지 않았다. 

    서울대병원도 17명 중 15명이, 삼성서울병원도 9명 중 7명이 지원해 미달 사태를 면치 못했다. 

    서울성모병원은 4명 중 4명이 지원해 정원을 충족했다. 하지만 가톨릭중앙의료원으로 늘려 각 병원을 포함하면 10명 중 4명 수준이어서 미달로 표기된다.

    빅5 병원 중 서울아산병원만이 10명 모집에 12명이 지원했다.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도 1명 모집에 2명이 지원해 충원에 성공했다. 

    지방은 전멸 사태였다. 거점병원 역할을 하는 주요 대학병원서 소아과전공의를 확보하지 못했다. 충남대, 충북대, 전남대, 전북대, 부산대 등은 소아과 레지던트 확보에 실패했다. 

    일련의 사태를 두고 정부의 정책 설계에 문제가 있다는 소아과 의료진들의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 10월 소아과 전공의 확보를 위해 '소아 진료 정책가산금'을 만들어 연간 약 3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지만 무용지물이 됐기 때문이다.

    임현택 소아과의사회장은 "초진만 3500원 더 줘서 월 40만원 수입이 느는 것을 소아과 대책이라고 했다"며 "양심도 없는 대책"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결국 저수가 체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소아과 현실에서 획기적 정책적 개선방안이 나오지 않았고, OECD 최저 저출산 국가라는 문제가 맞물려 전공의 수급이 무너졌다는 것이 의료계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