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결제추정금액 3년만에 최저치… 사용자도 감소알뜰배달, 실속배달, 세이브배달 등 가성비 배달 서비스 출시자율규제 준비했는데… 갑작스러운 규제 리스크에 당혹
  • 코로나19로 성장세를 거듭했던 배달앱업계가 올 한해 엔데믹과 고물가로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업체 경쟁심화, 정부 규제라는 이중고에 힘든 시기를 보녔다. 

    22일 앱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국내 주요 배달앱의 결제추정금액과 결제자수를 조사한 결과, 배달앱 3사(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의 지난 11월 결제추정금액은 1조5800억원으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배달앱 3사의 결제추정금액은 3달 연속 감소했다. 특히 올해 11월 결제추정금액은 2020년 11월(1조2200억원) 이후 3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지난 11월 배달앱 3사의 결제자수 역시 1910만 명으로 연중 최저를 기록했다. 마찬가지로 2020년 12월(1875만명) 이후 약 3년만에 가장 낮은 결제자수로 조사됐다.

    업계는 엔데믹(전염병의 풍토병화)과 함께 야외활동 증가, 외식물가 상승 등이 겹치면서 배달 수요가 꺾인 것으로 해석했다.

    ◆ 소비자 모시기… 할인 서비스 확대

    배달앱업계는 이같은 배달 수요 감소에 소비자 체감 물가 하락을 위한 공격적인 할인 정책을 선보였다.

    배민은 현재 10% 무제한 할인 쿠폰 발급과 함께 '알뜰배달'로 고객의 배달료 부담을 낮춰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올해 4월 업계 최초로 출시된 '알뜰배달'은 동선에 따라 주문을 묶어 배달하는 대신 고객의 배달료 부담을 낮췄다. 알뜰배달은 단건배달인 '한집배달'과 비교해 평균 2000원 수준의 배달료가 절감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요기요는 지난달부터 유료 멤버십 '요기패스X' 월 구독비를 9900원에서 4900원으로 인하했다. 요기패스X 가입자는 요기패스X 대상 가게에서 최소 주문금액 이상 주문 시 횟수 제한 없이 배달비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 하반기엔 요기요도 배달비를 절약하고 싶은 소비자를 위해 라이더가 여러 주문을 함께 배달하는 서비스인 '실속배달'을 선보이기도 했다.

    쿠팡이츠는 지난 4월 쿠팡 와우회원들에게 10%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와우할인'을 도입하면서 상승세를 탔다. 쿠팡이츠는 지난 6월 배달비를 최대 1000원 할인 절약할 수 있는 '세이브배달' 서비스도 출시했다. 

    ◆ 순위 변동은 없지만… 치고 올라오는 '쿠팡이츠'

    코로나19부터 현재까지 배달앱 순위는 1위 배달의민족, 2위 요기요, 3위 쿠팡이츠 등으로 변동이 없지만 점유율 변화를 따지면 쿠팡이츠의 기세가 놀랍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업종 내 점유율 1위인 배달의민족은 11월 MAU가 1898만명으로 1월(1988만명) 대비 4.51% 감소했다. 

    2위 업체인 요기요는 1월 684만명에서 11월 569만명으로 16.82%나 떨어졌다. 쿠팡이츠는 연초 대비 31.44% 증가한 460만명을 기록하며 요기요와 역대 최소 격차를 기록했다.쿠팡이츠의 이런 성장세에는 지난 4월 도입한 '와우 멤버십 할인'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자율규제 준비했는데… 정부의 플랫폼 규제 논의에 '당혹'

    공정거래위원회가 시장에서 독점력을 가진 핵심 플랫폼 사업자를 사전 지정하고,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을 벌이지 않도록 감시를 강화하는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 제정을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공정위가 마련한 제정안에는 자사우대, 멀티호밍 제한 등 반칙행위들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자사우대는 플랫폼이 자사 상품·콘텐츠를 다른 업체의 상품·콘텐츠보다 유리하게 대우하는 것을, 멀티호밍 제한은 자사 플랫폼 이용자에게 경쟁 플랫폼 이용을 금지하는 행위를 말한다.

    업계는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과 사전규제에 반발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입점업체의 갑을 관계는 자율규제에 맡기돼, 독과점 등 경쟁제한 행위는 규율하는 방향으로 선회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는 배민·요기요·쿠팡이츠 등 배달 플랫폼과 소비자와 라이더, 자영업자 등 이해관계자가 여럿인 배달 시장 특수성을 고려한 자율분쟁조정협의회가 출범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고물가 경제 상황 속 배달 시장이 위축되고 있지만 자율규제에 힘쓰며 최대한 건강한 플랫폼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갑자기 규제 리스크까지 발생한다면 결국 플랫폼 기업만 옥죄는 결과만 초래할 것"이라며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