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예약 주말, 신도림 집단상가 인산인해48개월 할부 시 S24 30만원대에 구매 가능방통위 단속 ‘유명무실’, 근본대책 필요
  • ▲ 신도림 테크노마트 휴대폰 집단상가의 모습 ⓒ뉴데일리 김성현 기자
    ▲ 신도림 테크노마트 휴대폰 집단상가의 모습 ⓒ뉴데일리 김성현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 S24 사전예약이 시작된 주말 오후 휴대폰 집단상가를 찾았다. 방송통신위원회의 특별안정화기간 엄포가 무색할 만큼 불법보조금은 여전했다.

    20일 오후 방문한 신도림 테크노마트 9층은 그야말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매장 직원들도 대부분 상담하느라 바빠서 호객행위를 하지 못하고 있을 정도였다.

    다른 고객들이 상담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돌아다니다 호객행위에 이끌려 자리에 앉았다. 어딜가나 처음에는 ‘일단 앉아봐라’, ‘찾는 모델이 있느냐’고 물어보면서 사용 중인 통신사까지 파악하는 건 똑같았다.

    S24 시리즈 중 가장 저렴한 모델은 115만5000원이며, 사전예약 혜택으로 512GB 용량을 256GB 가격에 주는 건 시리즈가 모두 동일하다. 번호이동 기준 할부원금으로 처음 계산기에 제시한 가격은 70만원으로, 115만원에서 45만원을 ‘매장지원금’으로 주겠다는 거였다. S24 플러스와 울트라 모두 지원 금액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른바 매장지원금은 공시지원금과 구분된다.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 혜택과는 별개로 3개월간 고가 요금제와 부가서비스 이용을 대가로 판매 매장에서 받을 수 있는 금액이다. 매장 직원은 기기값을 현금으로 70만원 지불하고, 추가로 선택약정을 통해 요금할인을 받으면 된다고 귀띔했다.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공시지원금은 KT 기준 최대 24만원으로, 매장에서 지급하는 불법보조금이 공시지원금보다 21만원 높은 셈이다. 현재 공시지원금은 전작 S23의 사전예약 기간 때 금액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정식 출시를 앞두고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매장을 나와 주변을 두리번거리자 다양한 플래카드가 눈에 띄었다. 기둥과 진열대 위로 ‘전국 최저가 보장’, ‘S24 최대 지원’, ‘사전예약 특가’ 등이 어지럽게 널려 있었다. 상담받고 있는 고객들과 계약서를 작성 중인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다른 매장에 앉아 제시받은 금액도 별반 차이가 없었다. 통신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합할인과 사용 요금제, 위약금 등을 훑어보면서 기기 변경을 제안해왔다. 역시 계산기에 찍힌 숫자는 S24 일반모델 기준 할부원금 70만원으로 똑같았다.

    공시지원금이 줄어서인지 이전보다 지원받는 금액이 줄어든 것 같다고 떠봤다. 매장 직원은 “(판매자) ‘정책’은 통신사 마음으로, 하루에도 몇 번씩 바뀔 때도 있다”며 “S23 가격이 올라간 이유는 S24에 지원금이 몰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재고가 많으면 지원금을 올리고, 판매가 원활하면 지원금 규모를 늘리지 않는다는 식이었다.

    집단상가의 생태계에 대해서도 엿들을 수 있었다. 매장 직원은 “통신사 정책이 다르다고 해도 부가서비스와 사용 요금제 등 모든 기준을 적용하면 지원 금액에 큰 차이가 없다”며 “경쟁이 치열해 1만원에 고객 유치가 갈린다, 서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게 하려고 허위신고를 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인터넷 카페에서는 S24 일반 모델 기준 40만원이 채 되지 않는 금액을 제시해놓은 글이 여럿 보이는데, 이는 할부 기간을 48개월로 늘린 경우라고 했다. 그러면서 인터넷을 결합한다면 80만원에 S24 지원금으로 55만원까지 더해 총 135만원을 제안했다. 115만원 상당인 S24 가격이 결합할인을 통해 최저 60만원까지 내려갔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는 갤럭시 S24 출시를 앞두고 이동통신 3사에 시장안정화를 당부한 바 있다. 19일부터 2월 8일까지 ‘특별안정화기간’을 운영하며 시장 모니터링과 현장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장에서는 불법보조금이 성행하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불법보조금을 이용한 영업을 막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은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단말기유통법이 유명무실해지면서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 저렴한 가격에 사고팔려는 움직임은 계속되고 있다”며 “온라인은 물론 현장 단속의 실효성이 크지 않은 만큼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