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3-11-06 17:34 | 수정 2013-11-06 18:26
▲ (사진=정상윤 기자) 금융위원회는 동양그룹 사태와 같은 대기업 부실을 막기 위해 내년부터 주채무계열 선정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약 13개 그룹이 주채무계열로 새로 편입되고
[두산]과 [한진중공업]등이
관리대상 계열로 선정되는 등
주채권은행의 취약기업 감시가 강화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동양그룹 사태와 같은
대기업 부실을 사전에 막기 위해
내년부터
채권은행이 관리하는 주채무계열 선정기준을
금융권 총 신용공여액의 0.1%에서
0.075%로 강화한다고
6일 밝혔다.
이 기준을 올해 적용했다면
주채무계열 그룹 수는
30개에서 43개로
13개 늘어난다.
금융 당국은
기업 부실 방지와 은행의 건전성을 위해
금융권 신용공여액이
전체 금융권 여신의 0.1%를 넘는 그룹을
주채무계열로 선정하고
재무구조평가를 실시해 왔다.
평가 결과
기준점수에 미달하는 그룹은
채권단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을 맺고
구조조정을 통해
정상화 방안을 마련한다.
2009년 이후 신용공여액이 줄면서
주채무계열에서 빠진 그룹은
[한국타이어]·[하이트진로]·[한솔]·
[SPP조선]·[현대]·[애경]·
[대주]·[아주산업]·[한국지엠(당시 지엠대우)]·
[영풍]·[이랜드] 등이다.
“새로 주채무계열로 포함되는 그룹은
3개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룹 이름을 말할 순 없지만
그동안 신용공여액이 줄면서
빠졌던 그룹이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 김용범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
내년에 새로 도입되는 [관리대상 계열]은
주채무계열 중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할 우려가 큰 계열이
대상이다.
업계에서는
[두산]과 [한진중공업] 등
취약업종의 기업을 주력 계열사로 둔 곳이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6월말 기준
두산의 부채비율은 349%,
한진중공업은 240%다.
관리대상 계열로 선정된 그룹은
주채권은행과 정보제공 약정을 체결하고
신규사업 진출, 해외투자 등
중요한 영업활동을 하기 전
주채권은행과 협의해야 한다.
금융위원회는
주채권은행과 다른 채권은행들이 가이드라인을 체결해
관리대상 계열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주채권은행은
관리대상 계열에 대해
수시로 재무구조를 평가하고
필요 시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맺을 수 있다.
3년 연속 관리대상 계열로 선정되면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맺어야 한다.
민약
주채무계열 기업이
재무구조개선 약정체결을 거부할 경우
주채권은행은
경영진 교체 권고,
금리인상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다.
대신
약정을 성실히 이행한 기업엔
신규자금 지원 등 혜택을 줄 계획이다.
금융위는
이달 중순 은행권의 의견을 들어
방안을 확정하고
내년 2월까지
규정 개정 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추천
관련기사 방금 보신 기사와 같이 읽으면 좋아요!
생생
헤드라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와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