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델리티-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 '2014 은퇴준비지수' 발표"은퇴 이후 4560만원 필요, 현실은 1천만원 부족"
-
-
-
-
▲ (왼쪽부터)노지리 사토시 피델리티 일본 투자자교육연구소 소장과 최현자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 ⓒ 피델리티 자산운용
국민들의 은퇴준비가 6년전보다는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은퇴 후 삶에 대한 기대치가 줄어든 데다 은퇴 후 기대되는 소비수준이 감소한 데서 비롯됐다는 지적이다. 또 소득수준별로 은퇴준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점도 문제점으로 거론됐다.
14일 피델리티자산운용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4회 2014 은퇴준비지수'를 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와 공동으로 발표했다.
피델리티가 분석한 은퇴준비지수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들의 가계 은퇴준비격차는 13%p를 기록했다. 지난 2008년 21%p, 2012년 18%p에서 꾸준히 감소 추세로 접어들고 있는 이 수치는 은퇴 후에 꿈꾸는 삶과 실제 삶의 괴리를 나타내며, 숫자가 작을수록 긍정적으로 분석된다.
최현자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6년 전에 비해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긴 하나, 은퇴 후 예상 생활비를 나타내는 '목표소득대체율'이 감소한 결과"라면서 "이는 은퇴 후 생활수준에 대해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가구주가 20~59세인 2인 이상 도시 근로자 가구를 피델리티가 분석한 결과, 은퇴 연령을 60세로 가정하면 은퇴 이후 연간 456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할 것으로 국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또 퇴직 직전 가구 소득은 7993만원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은퇴 후에도 직전 소득의 57%가량의 수입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국민연금과 사적 연금 등 예상되는 은퇴 소득은 기대생활비 연간 3479만원으로 은퇴직전 소득의 44% 수준에 불과했다.
은퇴 직전 소득 대비 은퇴 후 기대 소득 비율인 '목표소득대체율'은 지난 2008년 이후 6년간 62%에서 57%로 5%p 감소한 것이며, 은퇴 직전 소득 대비 은퇴 후 예상 수입의 비율인 '은퇴소득대체율'은 41%에서 44%로 3%p정도 늘어난 것이다.
-
최 교수는 "소득대체율 상승으로 인한 은퇴준비격차 감소가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우리나라의 소득대체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권고한 60~70%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또 소득수준별로 은퇴준비의 양극화는 좀더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피델리티는 조사 결과를 통해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 집단의 은퇴준비격차는 -1%p라고 밝혔다. 이는 이미 은퇴 이후 기대하는 소득을 이미 마련해뒀다는 의미다. 반면에 최저소득층인 1분위의 경우 은퇴준비격차가 49%p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은퇴준비 개선이 두드러졌다. 50대 인구의 은퇴준비격차는 2012년 20%p에서 지난해 9%p로 크게 줄었다. 은퇴소득대체율이 39%에서 42%로 높아지고 목표소득대체율이 59%에서 51%로 낮아진 데 따른 것이다.
반대로 30대의 경우 2012년 10%p에서 최근 12%p로 2%p 증가하면서 은퇴준비수준이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피델리티는 향후 은퇴준비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퇴직연금·개인연금 등 사적연금 대비방안 강화 △은퇴 포트폴리오 수익률 관심 제고 및 은퇴자산 생활비 소진 비율(인출률·정률) 개념 도입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 및 개인형퇴직연금(IRP) 보급에 따른 금융소비자 역량 강화 등을 제시했다.
노지리 사토시 피델리티 일본 투자자교육연구소 소장은 "정률 인출 방식은 매년 수익률에 따라 인출액이 달라질 순 있지만 평균 수명이 길어지는 지금 감안해야 할 부분"이라며 "은퇴시기 2단계에서 3단계를 감당할 수 있는 만큼 충분한 자산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이클 리드 피델리티 자산운용 대표이사는 "은퇴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아진 현 상황을 감안하면 향후 한국인들의 은퇴준비는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피델리티는 앞으로도 정기적인 은퇴준비지수 발표와 다양한 퇴직연금·개인연금 펀드를 통해 한국 투자자들의 성공적인 은퇴준비를 중장기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