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 4기 백지화...7차(2015~2029) 전력수급기본계획
  • ▲ 2029년까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이 발표됐다ⓒ뉴데일리 DB
    ▲ 2029년까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이 발표됐다ⓒ뉴데일리 DB

     

    2029년까지 향후 15년간의 전력 수급계획안이 발표됐다.

    신규 원전 2기가 새로 건설되고 대신 40년 이상 가동중인 화력발전소 등은 폐쇄된다. 추가로 건설되는 원전 2기는 삼척의 대진 1, 2호기나 영덕의 천지 3, 4호기가 유력하다.

    2018년 발전사업 허가단계에서 최종 입지가 확정되면 각각 2028년과 2029년에 150만kW 규모로 건설된다. 신규 원전 건설이 확정되면 국내 원전 수는 2029년까지 34기에서 36기로 늘어날 전망이다.

    재연장 여부를 놓고 논란이 되고 있는 고리 1호기는 안전성,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8일 이전에 계속 운전여부가 결정된다. 사회적 논란을 낳았던 송전선로 건설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산형 전원이 크게 확대된다.

  • ▲ 고리 1호기 재가동 여부는 18일 이전에 결정된다ⓒ
    ▲ 고리 1호기 재가동 여부는 18일 이전에 결정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이같은 내용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2015~2029년)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이번 계획에서 안정적인 전력수급과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분산형 전원기반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눈에 띄는 것은 POST 2020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 전원믹스 강화다.

    산업부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이미 반영돼 있는 석탄화력설비 중 고체연료사용, 송전선로 문제로 건설 이행이 어려운 영흥 7, 8호기와 동부 하슬라 1, 2호기를 철회하기로 했다. 40년 이상된 장기가동 석탄화력 설비를 대체할 때는 기존 용량 범위 내에서 환경성이 개선되는 경우에 한해 허용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전체 전원 중에서 석탄의 비중을 줄이고 원전과 액화천연가스(LNG),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늘리기로 했다. 당초 6차 계획에서 석탄의 비중은 2027년까지 34.7%를 차지했으나 이 비중을 2029년까지 32.2%로 줄이고 27.4%였던 원전의 비중은 28.5%로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7차 기본계획의 개선사항, 시행방법 등에 대한 설명회를 9일 개최하고 18일 공청회를 연 뒤 이달 중 국회를 거쳐 이달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