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줄 진료비 따른 보험료율 안정화·실속있는 펫보험상품 개발 숙제
-
포화된 보험 시장에서 새로운 먹거리로 ‘펫보험’이 주목받기 시작했다.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 비율은 지난 2012년 17.9%에서 지난해 30.9%로 늘어났다. 반면 펫보험 가입률은 0.2%로 영국(17.9%)·독일(15%)·미국(10%) 등 선진국에 비해 가입률이 저조한 상태로 앞으로 잠재적 수요가 큰 시장 중 하나다.최근 금융당국에서도 보험산업 경쟁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소액·단기 펫보험’을 제안하는 등 펫보험 시장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이에 보험업계에서도 새상품을 출시하며 펫보험 시장 성장성을 지켜보고 있다.메리츠화재는 지난 15일 4년 만에 ‘펫퍼민트 Puppy&Dog보험’을 출시했다. 기존 상품과 달리 장기보험으로 반려견의 평균 수명보다 높은 만 20세까지 상해 및 병원진료비를 보장한다. 3년 단위 갱신을 통해 보험료 인상과 인수거절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했다. 가입연령은 생후 3개월부터 만 8세까지다.한화손해보험도 지난 8월 ‘펫플러스 보험’을 선보였다. 가입연령은 만 10세까지 확대했으며 견종에 상관없이 연령으로만 보험료가 차등 적용된다. 또 소비자의 여건에 따라 총 9가지 보험료 납입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이 밖에도 삼성화재·현대해상·롯데손보가 기존 상품의 보장성과 손해율을 조정해가며 유지해가고 있다.보험개발원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펫보험 계약건수는 2638건으로 전년 대비 45% 성장했다. 원수보험료도 42.2% 늘어난 9억8000만원을 경신했다. 현재 일본 펫보험 시장이 500억엔(약 5052억원)점을 미뤄볼 때 국내 펫보험 시장은 더 성장할 것으로 분석된다.하지만 아직 산적한 과제는 남아있다. 각 병원마다 상이한 진료비로 인한 정확한 보험료율 산출 어렵다는 점과 반려동물 등록제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점이 펫보험 시장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또 중성화수술이나 심장사상충을 포함한 일반 예반접종 등이 보험금 지급 조건에 빠져 있어 고객들이 그 필요성을 잘 느끼지 못한다는 점도 개선해야할 상황이다.보험업계 관계자는 “펫보험 시장은 가입자가 많지 않고 규모가 작아 아직까지 신생아 단계 수준에 불과하다”며 “하지만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계속 늘고 그 관심이 커지는 만큼 앞으로 계속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시장 중 하나임은 분명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