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 정보 요청 골자 1일부터 시행페북 "표현의 자유 침해"...트위터 "심각한 우려 표명"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IT 기업 예의주시미중 갈등 SNS 등 온라인 활동 규제 이어져
-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으로 글로벌 IT 기업이 소셜미디어(SNS) 서비스 중단에 들어갔다. 홍콩 정부의 이용자 정보 요청에 따른 사업 철수다.9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구글과 페이스북, 트위터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홍콩보안법에 반대하며 이용자 정보 제공 중단을 선언했다.이달 1일부터 시행된 홍콩보안법은 외국 세력과 결탁,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리즘 행위 등을 금지, 처벌하고 홍콩 내에 이를 집행할 기관을 설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특히 홍콩보안법 9조와 10조는 '홍콩 정부는 국가안보를 위해 학교, 사회단체, 언론, 인터넷 등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하고 이들에 대한 선전·지도·감독·관리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규정했다.홍콩 정부가 포털 등이 제공하는 기사나 정보가 홍콩보안법을 위반했다고 판단될 경우 삭제 및 사용자 정보를 요구할 수 있게된 것이다. 해당 요청에 불응할 경우에는 1만 3000달러(약 1547만원)의 벌금과 6개월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이에 구글과 트위터는 "홍콩보안법이 미칠 영향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홍콩 정부의 자료 제공 요청에 대한 검토작업을 중단했다고 밝혔다.페이스북도 "표현의 자유가 인간의 근본적인 권리"라며 자사 서비스와 자회사인 모바일 메신저 왓츠앱의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말했다.중국의 동영상 SNS 틱톡도 홍콩 시장 철수를 선언했으며, 모바일 메신저인 텔레그램도 이용자 자료를 홍콩 정부에 제공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발표했다.마이크로소프트(MS)와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운영하는 줌비디오커뮤니케이션, 채용전문 소셜미디어 링크트인(LinkdIn)도 정보 공개 중단 행렬에 동참했다.국내 포털 업체인 네이버와 카카오도 글로벌 IT 기업들의 잇따른 서비스 중단을 눈여겨보고 있다. 현재 네이버 메신저 라인과 카카오는 홍콩을 비롯한 동남아 지역에서 서비스 중이다.업계 관계자는 "홍콩은 중국과 달리 SNS 등 온라인 활동에 대한 규제가 없는 곳이었다"면서 "미중 갈등이 홍콩보안법 갈등으로 이어져 IT 기업들이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