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4시 그룹임추위 열고 최고경영자 선출김윤국 부행장보, 경영관련 핵심 업무 능력자임성훈 부행장보, 마케팅·영업·소통 역량 탁월투명한 CEO 육성 및 승계절차 수립 위해 심혈
-
20개월간 철저한 검증과 평가를 거친 차기 대구은행장 선정 작업이 임박했다.각종 비리와 공백으로 얼룩진 은행을 안정화하고 위기에 처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등 과제가 산더미인 만큼 지역사회 관심이 집중된다.DGB금융그룹은 3일 오후 4시 그룹임원추천위원회를 열고 차기 대구은행장 단수 후보를 선정한다.
이날 김태오 DGB금융 회장이 청와대 뉴딜 전략회의에 참석한 뒤 대구로 내려가 그룹 임추위에 참석하는 만큼 저녁 늦게 단수 후보가 선정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차기 후보는 김윤국 부행장보와 임성훈 부행장보 2파전으로 압축됐다. 함께 최종 후보군에 올랐던 황병욱 부행장보가 최근 대구신용보증재단 이사장으로 임명돼서다. 두 명 중 누가 선정될지는 오리무중이다.◆각기 장점 보유한 김윤국vs임성훈 부행장보 막판 경쟁김윤국 부행장보는 1962년생으로 영남고-경북대를 졸업해 1988년 입행했다. 6년간 지점장을 거쳐 임 부행장보보다 2년 빠른 2016년 대구본부장(상무)으로 승진했다.이후 은행 및 지주 리스크관리본부장과 경영기획본부장, 경영혁신본부장을 역임했다. 현재 공금금융본부장을 맡고 있다.그는 지역본부 경험과 리스크관리, 경영기획 등 경영관련 핵심 업무를 담당하며 다방면에서의 노하우를 인정받은 인물이다. 특히 2018년 말 은행장 직무대행을 맡았던 경험이 있고, 2019년에는 그룹 분위기 쇄신을 위한 다양한 혁신활동을 주도했다.임성훈 부행장보는 1963년생으로 대구중앙고-영남대를 졸업해 1982년 입행했다. 김 부행장보다 한 살 어리지만 6년 선배다.이후 5년간 지점장을 거쳐 마케팅부 추진부장과 포항·경산영업부 부장을 역임했다. 2018년 공공금융본부장 겸 서울본부장(상무)로 승진, 현재 경영기획본부장(부행장보)를 맡고 있다.그는 영업에 잔뼈가 굵은 '영업통'으로 불린다. 다년간의 영업점장과 지역본부장 경험을 통한 마케팅 능력은 물론 SNS를 통한 소통 부분에서 능력을 인정받았다.공공금융 분야에서 역량도 뛰어나다. 대형은행과의 치열한 지자체 금고 쟁탈전 속에서 지역 금고지기로서의 자리를 굳건히 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DGB만의 CEO육성프로그램…후보 검증 단계별 철저DGB금융은 지난해 2월 CEO 육성 및 승계 프로그램을 시작해 1년 8개월의 여정을 마무리했다.지주 및 은행 현직 임원 19명 대상 DGB포텐셜 아카데미, 외부 전문 코치 1대 1 지도, 다면평가 및 심층 인성검사와 전략과제 발표 등 1단계 프로그램을 1년간 진행, 최종 후보군 3명을 뽑았다.이후 심화 교육 및 평가 프로그램으로 중요 계열사 내 훈련(OJT), 집중 어학능력 개발과정, 분야별 전문가와의 1대 1 멘토링 과정인 'CEO 아카데미' 및 경영 이슈에 대해 집중 토의하는 'DGB 경영자세션' 등을 실시하며 2단계까지 끝냈다.DGB금융이 이 프로그램에 심혈을 기울인 것은 과거 최고경영자의 채용비리, 비자금 조성 등 문제로 몸살을 앓은 만큼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통한 합리적인 CEO 선정과 승계절차 수립, 인재육성 체계 도입을 위해서다.이를 위해 가장 먼저 지배구조 선진화 방안을 제도화했다. CEO리스크를 쇄신하기 위해 회장과 은행장 후보에 대한 검증을 한층 강화했다.회장은 임기 만료 최소 6개월 전, 은행장은 3개월 전 승계절차를 개시하도록 규정했고, 외부 전문기관의 검증을 거쳐 후보군을 선정한 후 다양한 종합 평가를 통해 CEO를 선정하도록 했다. 기존에는 약 40일 전 승계절차를 진행해 검증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다.CEO 후보 임원에 대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자격요건에 부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마련해 운영토록 의무화했다. 또 CEO승계프로그램의 체계화를 위해 전 자회사 CEO 승계 과정을 통할하기로 했다.당시 김태오 DGB금융 회장은 10개월여 이어진 경영 공백을 메꾸고 조직 안정과 후계 양성을 위해 대구은행장을 한시적으로 겸직하기로 했다.이날 차기 은행장 내정자가 선정되면 내년 1월부터 공식 임기가 시작되지만 조직의 빠른 흡수를 위해 취임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