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요금제 인하 '공감' 속 보편요금제는 반대"시장경쟁 우선돼야"통신비 인하 압박에 5G 투자 전략 '난항' 우려도
  • ▲ 유영상 SK텔레콤 MNO 사업대표가 지난 8일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방통위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연합뉴스
    ▲ 유영상 SK텔레콤 MNO 사업대표가 지난 8일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방통위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연합뉴스
    올해 국정감사 화두가 된 통신비 인하 대책과 관련해 이동통신업계를 중심으로 아쉬운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여야 압박에 따라 이통 3사 모두 5G 요금제 인하를 약속했지만, 보편요금제 도입을 요구하는 목소리까지 높아지면서 향후 5G 투자 전략 수립에 대한 부담이 커졌다는 의견이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 이통 3사는 자사 5G 요금제를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연내 저가형 상품을 일제히 선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5G 상용화 이후 네트워크 품질에 비해 이용 요금이 높다는 지적이 꾸준이 제기된데다, 정부도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라 저가형 5G 요금제 출시를 압박한 것이 배경이다.

    앞서 KT는 지난 5일 이통 3사 가운데 가장 먼저 월 4만원대 5G 요금제를 선보인 바 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역시 최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5G 요금제 인하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SK텔레콤의 경우 이르면 연내 요금제 개편을 마치겠다는 입장을 내비친 상태다.

    유영상 SK텔레콤 MNO 사업대표는 "SK텔레콤도 고객 친화적이고 편익을 증대할 수 있는 요금제 개편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올 연말, 늦어도 내년 초까지 마련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가 추진 중인 월 2만원대 보편요금제 도입에 이통 3사는 한 목소리로 반대의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정부의 통신비 규제보다는 자유로운 시장경쟁을 통해 가격이 결정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수익 악화를 비롯해 향후 5G 투자에 대한 부담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통 3사는 지난 상반기에만 3조 4400억원 수준의 5G 인프라 투자를 실시했다. 디지털 뉴딜의 일환인 '5G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을 위해 오는 2022년까지 25조원 이상의 투자도 약속한 상태다. 

    다만 상반기 5G 투자액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 등에 따라 당초 예고한 4조원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하반기 투자도 5G 가입자 증가율 둔화 등이 영향을 미치면서 난항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유 대표 역시 지난 국정감사에서 고가 요금제 지적과 관련해 "가계 통신비가 데이터 사용량 증가에도 줄어들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며 "전 세계 통신사와 비교해 국내 통신사의 영업이익률이 높지 않다고 알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한 관계자는 "5G 상용화 이후 전국망 구축 및 전용 콘텐츠 개발 등에 수조원대 투자를 이어가고 있으며, 고가 요금제 논란과 관련해서도 특정 수요층을 대상으로 한 중저가 요금제 출시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5G 가입자 증가율도 둔화되는데다 올해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에 따라 수조원대 투자를 진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요금제 인하 압박은 5G 전략 수립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