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방안' 확정신소재 개발 기간·비용 50% 이상 절감 기대
-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소재연구에 접목해 실험·이론에 의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신소재 개발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통해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방안'을 확정,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이번 방안은 산발적인 소재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안정적으로 수집·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조기에 구축하고, 소재 연구개발(R&D)에 직접 활용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과기정통부는 '디지털뉴딜' 추경을 통해 확보한 재원 80여억원을 시작으로, 오는 2027년까지 598억원을 투자해 연구데이터 수집·공유 플랫폼 구축에 우선 착수한다는 계획이다.내년까지 데이터 구조와 규격 등을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표준 템플릿'을 확립하고 AI가 학습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데이터에 관한 속성정보) 420만건을 확보한다.과기정통부 소재 R&D 과제부터 타 부처 과제와 기초연구 등 R&D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모두 모은다.대용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내년까지 슈퍼컴퓨터 5호기를 일부 사용하고, 2026년까지 소재 연구데이터 전용 초고성능 컴퓨팅 전용 시스템을 구축한다.2022년부터는 수집 데이터와 AI를 소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등 3대 서비스를 제공한다.연구자와 기업은 '혁신허브' 내에서 AI를 활용해 소재 조성을 설계하거나 장비 정보나, 가이드라인 등을 공유할 수 있다.소재연구 혁신허브와 3대 서비스를 소재 R&D 전주기에 활용해 신소재 개발시간과 비용을 절반으로 줄이는 선도사업도 추진한다.아울러 대형 신규 R&D 중장기 과제와 단기 시범과제를 병행해 조기에 성공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연구데이터는 소재연구 파이프라인에 혁신을 가져올 기폭제"라며 "데이터 활용을 통해 LED, 탄소섬유를 잇는 신소재가 국내에서 확보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이어 "연구 패러다임을 바꾸는 과정에서 연구 현장과의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개방·공유·협업의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긴 호흡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